유일한 큰 차이는 혼자서 연습하는 시간이었다. 뛰어난 학생들은 열여덟 살이 될 때까지 평균적으로 7410시간을 홀로 연습했다.
잘하는 학생은 5301 시간, 평범한 학생은 3420시간이었다. 이런 수치는 누구든지 1만 시간을 연습하면 숙련된 솜씨가 필요한 거의 모든 분야 - 스포츠에서 동물학 연구에 이르기까지 에서 전문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통상적인 생각과 일치한다(하루도 거르지 않고 매일 4시간씩 7년간 연습하면 1만 시간이 된다).
재능의 개념에 아직 미련이 남은 사람들, 음악적 성취가 대체로 단순하고 지루하고 힘든 노동의 결과라는 사실이 못마땅한 사람들에게 한마디 하자면, 성취도가 높은 사람들은 이런 노력 덕분에 더욱 큰 존경을 받게 되는 것이다.
부모들이 사랑하는 자식의 음악적 재능과 잠재력을 자랑스럽게 말할 때, 그들은 의식하지 못할 뿐 사실은 아이가 악기 연주에 벌써 진척이 많이 되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들은 아이가 송진을 묻힌 손가락을 바이올린에 대기도 전에 "놀라운 바이올리니스트가 될 거야" 하고 말하지 않는다. 아이가 어느 정도 솜씨를 얻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Mary Had a Little Lamb‘이나 ‘Smoke onthe Water‘를 끝내주게 연주할 줄 안다고 선언한다. 그러기까지 불쾌한 소음과 힘든 노동을 견뎠다는 사실은 잊어버리고 말이다.
높은 수준의 음악적 솜씨를 얻기 위한 비결은 의도적 연습이다.
- P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