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의 연구가 밝혀낸 것은 인간은 사회적이면서 동시에 반사회적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소속 집단 구성원을 좋아하기에 사회적이고, 다른집단 구성원을 좋아하지 않기에 반사회적이다. 상반된 두 측면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 주제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끊이지 않았다. 이 주제는 복잡한 상황을 어떻게 최적화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둘 이상의 요인이 모두 중요하지만 다른 것을 축소하지 않고는 어떤 것도 최대화할 수 없을 때 최적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협력과 경쟁을 생각해보자. 협력과 경쟁이 충돌할 때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협력과 경쟁은 모두 사회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바람직한 것이다. 협력은 안전과 안심, 단합을 위해 필요하고, 경쟁은 성장과 지위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타이의 연구가 밝혀낸 것은 인간은 사회적이면서 동시에 반사회적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소속 집단 구성원을 좋아하기에 사회적이고, 다른집단 구성원을 좋아하지 않기에 반사회적이다. 상반된 두 측면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 주제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끊이지 않았다. 이 주제는 복잡한 상황을 어떻게 최적화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둘 이상의 요인이 모두 중요하지만 다른 것을 축소하지 않고는 어떤 것도 최대화할 수 없을 때 최적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협력과 경쟁을 생각해보자. 협력과 경쟁이 충돌할 때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협력과 경쟁은 모두 사회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바람직한 것이다. 협력은 안전과 안심, 단합을 위해 필요하고, 경쟁은 성장과 지위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집단의 규모가 너무 작으면 그 집단은 권력이나 영향력이 없어 다른 집단의 공격을 막을 수 없다. 그런 집단의 구성원이 된다는 것은 그다지 유익하지 않다. 한편, 어떤 집단이 너무 크면 정상에 오를 가능성이 줄어들고 성공하기가 어렵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집단에 소속되어 보호받기를 원하므로 성공할지 말지는 운에 맡기고 우선은 어떤 집단에는 소속되려 한다. 그래도 서열 구조에서 위로 올라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집단의 성장이 곧 자신의 성장과 이어지고 집단이 실패하면 유리할 것이 없다는 점을 깨닫고 점점 집단과 자신을 동일시하게 된다.
46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