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슬 - 우리는 왜 우리의 몸을 사랑해야 하는가
보니 추이 지음, 정미진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스트롱맨 대회, 피지컬100, 강철부대, 보디빌딩 등 외적 강함은 인류에게 관심대상이었다.
인류에 있어 근육은 강함의 상징이었다. 외적 강함은 본능적으로 관심과 경외감마저 가지게 한다. 인체의 근육은 단지 외적 아름다움과 강함만을 이야기하는 걸까?

#2.
책에서 근육은 근육을 ‘살아 있는 에너지의 원천’으로, 인간의 존재를 유지시키는 근본적인 생명력으로 바라본다. 작가는 미술가로서의 섬세한 시선과 운동가로서의 체험을 결합해, 몸이 만들어내는 움직임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한다.

#3.
책은 힘과 유연성, 지구력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근육이 단지 강함의 상징이 아니라 균형과 조화의 결과물임을 보여준다. 강한 근육만으로는 삶을 버틸 수 없듯, 유연성과 회복력, 지속력 또한 인생의 근육을 단련시키는 핵심임을 일깨운다. 특히 작가는 근육의 움직임을 미술적 감각으로 묘사하며, ‘움직임의 아름다움’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비춘다. 몸이 곧 나를 말해주는 언어라는 말이 떠오른다.

#4.
‘근육’은 결국 삶의 은유다. 강함만을 상징하지 않고, 반복과 꾸준함 속에서 단련되어가는 인내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작가는 말한다. 몸을 움직이는 것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 자신을 일깨우는 행위라고. 매일 조금씩 움직이는 행위 속에서 우리는 스스로를 단련하고, 한 걸음 더 단단해진다.

#5.
“나는 오늘도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이불 속에 머물고 있지 않은가?” 이불 속의 안락함은 달콤하지만, 진짜 삶은 움직임 속에서만 살아난다. 『머슬』을 통해 우리는 , 근육의 섬세한 떨림 속에서 삶의 리듬을 다시 느껴보라고 속삭인다.

몸이 깨어나는 순간, 삶 또한 다시 시작된다.

이제 이불 밖으로 나와 근육의 언어에 귀 기울여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