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 티베트 - 차마고도에서 시짱자치구까지 역사문화 인문여행
이영철 지음 / 미다스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호준 교수님의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이 책을 읽는 내내 떠올랐다. 그동안 나는 여행을 단순히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끼는 경험이라 여겼다. 현장에서만 감각으로 받아들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했는데, 이영철 작가님의 『티베, 티베트』를 접하면서 그 생각이 얼마나 얕았는지를 깨닫게 된다. 같은 장소라도 배경지식이 있는 사람의 시선은 전혀 다른 풍경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새삼 실감한다.


겉으로는 여행기지만, 실제로는 티벳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낸 깊이 있는 인문서에 가깝다. 책에는 꾸밈없는 사진과 함께 지역별 이야기, 지명의 기원, 그리고 티벳인들의 고단하고도 끈질긴 역사가 담겨 있다. 해발 4천 미터가 넘는 고원에서, 외지인이라면 고산병에 시달릴 만한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이어져 내려오는 그들의 삶은 단순한 생존을 넘어선 숭고함을 보여준다.

더욱 인상적인 부분은 티벳인들이 처한 현실이다. 주권을 잃고 지도자인 달라이라마마저 인도에서 망명 생활을 해야 하는 상황은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와 겹쳐지며 묘한 공감과 동질감을 불러일으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족은 그 땅에서 여전히 문화를 잇고 있었다. 온몸을 땅에 엎드려 한 걸음씩 나아가는 오체투지의 장면은 사진으로만 보아도 경이롭고 숙연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단순히 신비로운 풍습이 아니라, 삶의 간절한 소망과 믿음이 응축된 행위라는 사실이 마음 깊이 다가온다.



책장을 덮으며 나는 ‘달라이라마, 오체투지, 영화의 배경’ 정도로만 알고 있던 티벳에 대해 조금은 선명한 그림을 가지게 되었다. 작가의 꼼꼼한 여정 덕분에 막연한 이미지가 구체적인 역사와 문화로 다가온 것이다. 이제 나의 여행 버킷리스트에 티벳, 정확히 말하면 시짱자치구가 들어섰다.



『티베, 티베트』는 단순히 여행을 준비하는 이들에게만 필요한 책이 아니다.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한 민족의 삶과 고난, 그리고 꿋꿋한 정신을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넓혀준다. 이 책과 함께라면 티벳을 향한 여행은 단순한 관광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와 삶을 깊이 체험하는 충만한 여정이 될 것이다.


"본 리뷰는 미다스북스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정성껏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해발4천미터 고원에서의 삶을 이어가는 티배트인들의 소망은 간절해 보인다. 이전 생은 이리 척박하지만 다음 생은 보다 나은 환경에서 안온한 행복을 누렸으면 하는 바람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현생에서 쌓은 죄업들을 죽기 전에 하나씩 소먈시켜 둬야 한다. 그래야 다음 생을 기약할 수 있는 것이다. - P311

현지인 아이들의 머리를 땋아주거나 체조를 하거나 주변을 걷거나 일기를 쓰거나, 영화 속 이춘숙 할머니는 한시도 쉬지 않고 몸을 움직여 무언가를 하고 있었다. 인생에 남은 시간들을 순간순간 얼마나 소중하고 감사하게 여기고 계실지를 느낄 수 있었다. 소멸해 가는 시간을 앞에 둔 건 나 역시 마찬가지임을 새삼 깨닫는다. 일상이 시들해지거나 삶에 활기를 잃어가는 느낌이 들 때 나는 영화 <카일라스 가는 길>에서 이춘숙 할머니를 만나곤 한다. - P327

나의 적도 무로 돌아갈 것이고, 나의 벗도 무로 돌아갈 것이며 나 역시 무로 돌아갈 것이다. 만사가 무상하고 그저 덧없다. 기뻤던 일 모두 다 기억 속으로 사라지고, 한번 간 것은 다시 오지 않는다. - P3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