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음악처럼 듣고 미술처럼 보다
서현 지음 / 효형출판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건축가 서현은 ‘저 건물은 멋있는 겁니까?’에 대해 답하기 위해서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건축가들만이 내릴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건물이 멋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답은 건축가만이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질문자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스스로 대답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지은이가 일반인들로부터 가끔 받게 된다는 이 질문은 건축이 기능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미학적으로도 가치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 건축의 현실은 건축의 과정이 지나치게 현실적으로 이루어져서, 건축의 기능적 요소가 아름다움의 요소보다 더욱 강조되고 있는 느낌이다. 이 책을 읽은 후 건축의 기능은 삶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목적 외에도, 바라보는 경관의 대상으로서 심미성도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우리에게 익숙한 건축물을 단순히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건축이 생겨난 배경과 건축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우리나라의 현대 건축을 위주로 서술하고 있다. 또한 건축가가 도면에 점 하나를 찍는 것으로부터 점차 면, 비례, 상자, 공간으로 확대되는 과정으로 전개되는 건축을 친절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문이나 창의 위치 등 별 의미가 없다고 여겨졌던 것들에 대해서 건축 공간의 작은 부분까지도 세심하게 배려되고 있다는 사실을 이 책에서 깨닫게 되었다. 좋은 건축을 음악과 미술처럼 즐겁고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듯이, 서현의 풍부한 인문적 지식으로 건축을 친절하게 접근한 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신선하게 그리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건축가는 사회의 역동성과 시대의 정신에 적합한 건축적 답을 얻기 위해 사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건축에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을 통해 좋은 건축을 만들기 위한 건축가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으며, 그 건축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배경과 정신을 읽을 수 있다. 건축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자체에 대한 사실적 정보도 중요하지만, 건축 당시 건축가가 살았던 시대의 역사적 상황, 분위기를 먼저 파악할 필요성이 있음을 깨달았다.

건축은 감상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면에서 음악과 미술처럼 예술이라고 볼 수 있지만, 건축을 하는 행위에 있어서는 음악과 미술과는 그 성격이 다르다. 즉 건축은 엄청난 양의 물리적 자원과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소요되고, 이들의 사회적 이해관계가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건축에 대한 칭찬과 비판은 건축가만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건축가를 포함한 건물주와 노동자까지 포함된다. 또한 건축물에 사용된 재료, 건물이 만들어진 시대적 상황까지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 만들어진 주위 건물들을 관찰하면서 그것이 아름답지 않다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나의 책임은 어느 정도나 될까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아름다운 도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건축적인 제안을 하는 사람은 건축가들이며, 이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권리와 의무를 가진 사람은 그 도시에 살아가는 시민들이다. 다음 세대에 물려주어야 할 도시의 발전은 지속가능해야 하므로, 현 세대에 살아가는 우리들은 도시의 환경을 더욱 신중하고 정성스럽게 가꾸어 나가야 한다. 우리의 도시와 건축이 더욱 아름다워지고 현 시대에 만들어진 공간을 다음 세대에 자랑스럽게 전해 주기 위해서, 좋은 건축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기를 소원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