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지리
정장호 외 지음 / 강원대학교출판부 / 1999년 8월
평점 :
품절


지리와 인간 생활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지표 공간에는 자연이 만든 자연 환경과 인간에 의한 인문 환경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데, 장소의 독특한 경관을 만들면서 각 지역의 성격을 반영하게 된다. 지리학은 이와 같은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밝혀 지역성을 규명하는 학문이다. 지리학의 연구 대상은 우리가 생활하는 삶의 공간과 환경이므로 어느 학문보다도 대중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인들은 지리에 대하여 암기할 것이 많고 매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아마 입시 위주의 암기식 지리 수업이 이러한 결과를 낳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지리는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과 우리에게 친숙한 장소에 대해 항상 관심을 가지면서 어떻게 하면 우리의 삶터를 더욱 아름답게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하게 하고, 그 대안을 마련하도록 도와주는 교과이다. 그러므로 매우 유익하고 재미있으며 흥미있는 주제가 가득한 과목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책은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에 재직하시는 교수님들에 의해 쓰여졌다. 이 책을 집필하게 된 동기는 국토의 올바른 이해와 지리의 대중화를 위함이라고 서문에서 말하고 있다. 각 장마다 교수님들의 세부 전공에 맞게 쓰여졌으므로 내용이 알차며, 무엇보다도 이 책이 매력있는 점은 집필 동기에 충실하기 위해서 읽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알기 쉽게 쓰여졌다는 것이다.

1장에서는 세계화를 선도하는 학문으로서 지리학의 위상, 지리적 위치의 중요성, 지도의 활용을 설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리가 미래를 위해 매우 중요한 학문임을 말하고 있다. 미국의 핵심적인 다섯 과목은 영어, 수학, 과학, 역사, 지리이며 영국, 프랑스, 독일도 지리를 중요한 과목으로 받아들여 교육시키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지리가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주며, 국익을 위한 세계적인 안목을 키워준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뛰어난 관광 자원으로서의 지형, 지형과 마을 입지의 관계, 땅의 형상과 땅 이름에 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기후와 인간 생활에 대해 다루면서 기후와 의상, 기후와 가옥, 그리고 기후와 관련된 속담과 지명에 대해 고찰하였다. 4장에서는 향토지리와 풍수지리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였으며 5장에서는 어떤 지역에 어떤 산업이 왜 발달하는지를 주제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 비닐하우스, 구멍가게, 첨단 산업을 들었다. 6장에서는 인간이 왜 도시로 모여들고 도시의 내부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다룬다. 7장에서는 오늘날 심각한 지구 환경 문제와 관련해 산성비와 골프장 건설의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환경 보전의 필요성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지리의 모든 분야를 소개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기후 변화, 경관생태, 교통 환경, 도시의 경관과 문화, 사회적 공간 등의 주제는 포함되지 않아 아쉬운 마음이 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지리 전 분야를 다룬다면 이 책을 더욱 부담스럽게 만드는 요인이 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지표상의 사물과 지리적인 현상, 그리고 삶의 공간과 환경을 지리적으로 바라봄으로써 인간 생활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안목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