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사랑과 성, 어디까지 왔나? - 사랑과 성에 관한 경영학 박사의 우리 소설 읽기
김진 지음 / 얼과알 / 2000년 8월
평점 :
품절


소설은 허구이지만 작가의 직간접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다. 그러므로 소설 속의 표현을 통해 오늘날의 성문화가 어디까지 왔는지를 어느 정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을 쓴 지은이는 그동안 그가 읽은 소설 속에서 우리의 사랑과 성을 분석했다. 사실 우리의 사랑과 성이 어디까지 왔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통계 조사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계 방법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 하면 감추고 싶은 사적인 질문에 대해 응답자들은 솔직하게 답변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 책은 모두 8개의 커다란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장에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서 소설 속의 이야기와 그 표현을 통해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머리말에서 지은이는 이 책의 목적이 밝고 건강한 사랑과 성을 위해서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사랑과 성에 대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제시하고 있다. 소설을 바탕으로 우리 성문화의 현실을 진단해 보는 방법은 정말 새롭고 신선한 것이다. 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성에 대한 표현을 통해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생각과 행동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의식과 태도를 엿볼 수 있게 해 준다.

물론 소설 속의 성적 묘사가 일반 성인들의 모습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다양한 가치관을 가진 소설가들이 성에 관해 다양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의 성 표현은 훌륭한 자료라고 말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이 책은 소설에서 성 표현이 나타난 내용만을 모아 놓은 자료 모음집처럼 보인다. 그래서 단순히 성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책이라고 오해할 수도 있다. 상업적인 목적 때문에 이 책이 쓰여진 것으로 잘못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건강한 성담론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작업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소설을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을 기억하면서 이 책을 읽어야 할 것이다.

자료의 대상은 모두 현대 소설이다. 따라서 우리의 사랑과 성이 어디까지 왔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은 단지 오늘날의 상황일 뿐이다. 지은이가 고전 또는 근대 소설에서의 성 표현을 찾는 것까지 시도했다면 과거와 현재의 성문화를 비교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