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와 거짓말
Mark Monmonier 지음 / 푸른길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지도를 접하게 되고, 그것을 볼 때 아무런 의심없이 사실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지도의 진실과 거짓말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이 책을 다 읽은 후에는 지도를 바라보는 시각이 많이 달라질 것이다.

3차원의 복잡한 세계를 2차원의 평평한 종이 위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지도는 어쩔 수 없이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것은 지도가 가진 한계인 동시에 지도의 기본적인 속성이다. 땅의 면적과 두 지점간의 거리, 지표의 전체적인 형상, 그리고 방위 등 이 모든 요소를 만족시켜 주는 지도가 과연 있을까? 만약 이 모든 조건들을 만족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지도가 아니라 지구의 실제 모습을 상당히 축소하여 만든 지구본밖에 없다고 답해야 옳을 것이다.

지도가 가지는 이러한 특성을 악의에 찬 정치 선동가나 오직 돈밖에 모르는 기업가가 악용할 경우 지도의 속성을 알지 못하는 일반인들은 잘못된 지도의 표현에 무조건 신뢰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 책은 지도 제작자가 어쩔 수 없이 거짓말할 수 밖에 없는 이유 뿐만 아니라 간혹 악의에 찬 거짓말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함으로써 지도의 본질과 적절한 이용 범위에 대해 흥미로운 사실을 알려준다. 각 장마다 재미를 가져다 주는 주제로 구성되어 있어 이 책을 읽는 데 짧은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무리없이 순조롭게 읽을 수 있었다.

지도의 주요 요소인 축척, 도법 그리고 기호화에 대해 일반인들은 의심없는 진실로 받아들이지만, 사실 이것이 지도를 왜곡되게 만드는 주요인이라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지도 제작자가 지도에 대한 지식이 짧아서 나타나는 결과와 지도 제작시 주의해야 할 점을 무시한 결과 나타나는 실수를 알아본다. 광고 지도에서만 볼 수 있는 기호 이용, 개발 계획이나 환경 영향 평가시 이용되는 지도에서 나타나는 생략과 과장 기법, 그리고 정부가 정치 선전이나 적국에 대한 거짓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이용하는 왜곡된 지도에 대해서도 소개했는데 이 부분이 이 책에서 가장 재미있었다.

어느 회사의 제품을 거주민들이 많이 구입한 지역을 미국 지도에 주별로 색칠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 때 면적은 넓지만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서 사람이 많이 살지 않는, 서부 주들의 거주민들이 제품을 많이 구입했다고 해서 마치 대부분의 미국 주민들이 그 제품을 선호한다고 광고하는 것은 커다란 오류로 이해해야 한다. 미국 주민들의 반 이상이 미국 동부에서도 매우 좁은 지역에 집중하여 거주하는 사실을 알고 있다면 이 광고가 흑색선전물이라는 것을 금방 눈치챌 수 있을 것이다.

메르카토르 도법은 두 지점간의 방향은 정확하지만, 적도에서 극 지방으로 갈수록 그 면적은 상당히 크게 확대되는 결점을 가진다. 따라서 메르카토르 도법에서 극 지방에 가까운 구소련의 면적은 매우 넓게 나타나지만 지구본으로 본 구소련의 실제 넓이는 상대적으로 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산주의 이념에 위협을 느껴온 미국의 반공 극우 단체는 이 도법을 오랫동안 즐김으로 공산주의의 위협을 경고하였다.

요컨대 이 책은 지도의 허와 실을 우리에게 알려줌으로써 지도를 현명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즉 지도의 용도에 따라 왜곡의 가능성을 올바르게 분별할 수 있도록 그 지식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 우리가 지도를 이용할 때 지도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에서 벗어나 이제는 건전하게 의심을 품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