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와 한글로 읽는 교양 세계사
박찬영 외 지음 / 리베르스쿨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계의 명가 리베르스쿨이 펴낸 신간 <영어와 한글로 읽는 교양세계사>는 Bilingual History Edition이다.

책을 펼쳐보면 왼쪽 페이지에는 한글이, 오른쪽 페이지에는 한글로 쓰인 그 내용이 영어로 적혀져있다.

머리말 Foreword에 우리가 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 역사서를 읽어야하는 이유, 세계의 역사를 영어로 읽을 때의 효용성 등을 제시해놓았다.
History... because they are the foundation that made what we are today. World history is the basis of all reading, because it is collection of important events that happened in the world.
....history can offer the most efficient language-learning texts. History is a compilation of all the important things of the world. When you learn those terms and vocabulary within the context of history, you can learn English more efficiently as well.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있기에 이 책이 다루는 '세계의 역사'는 overview지만 덕분에 일반 성인(어른)이 교양서나 입문서로 읽기에도 눈높이는 맞춤하다. 그래서 제목이 '교양세계사'겠지만.





그림, 사진, 지도같은 부가자료가 적절하고도 풍성해서 이 책을 만들기 위해 집필진이 정성을 많이 기울였음을 짐작케한다. 세계사의 주요사건을 이야기형식(스토리텔링)으로 풀어놓거나, 역사에서 궁금한 점은 문답형식으로, 때로는 역사적 인물이 스스로 자신을 소개하거나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역사를 보다 현실적으로 생생하고 전달하고있고, 따라서 독자의 관심과 호기심을 배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주요 독자층이 청소년 학생으로 설정되어있는만큼 여기 쓰인 영어도 고등학생이면 충분히 읽어낼 정도여서 과히 어렵지않다. 한글과 영어를 비교하면서 읽을 수 있으니 지식과 재미에 언어(외국어)까지 얻을 수 있는 세계사책이다.

솔직히말해서 세계사책을 영어로 읽을 때 영어문장보다는 역사용어때문에 멈칫할 때가 많은데 특히 중국사에서는 중국어를 알면 모를까 그렇지않으면 중국사에서 인명 지명을 비롯한 각종 용어때문에 골치가 아프다. 일례로 청말기 광서제때 변법자강운동은 영어로 the Hundred Day's Reform이다. 의화단의 난으로 청이 열강과 맺은 신축조약은 Boxer Protocol이다. Cixi는 앞에 Empress Dowager가 붙어있으니 눈치로 서태후임을 짐작한다해도 그냥 Cixi라고하면 이게 사람이름인지 지명인지 아니면 뭔지 도통 알 수가 없다. 자희를 중국어로 발음하면 cixi가 되나보다.
영어로 중국사를 읽을 때 이런 골치아픔이 있긴하지만 그래도 역사서를 읽으면 매우 재미가 있다. 이 책은 더 그렇다. 영어로 녹음한 성우 아나운서가 "with interesting tid-bits of information"이라고했는데 과장이 아님을 실감할 것이다. 이 책을 영어 자막이 입혀져있는 동영상 영어 오디오북으로 유튜브에서 시청할 수 있으니 오디오북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대환영일 듯하다.

전체적으로 별 다섯이 전혀 아깝지 않은 책이다.



한가지 개인적으로 덧붙이자면, 36~37페이지의 요하문명과 홍산문화에 대해서는 반드시 읽을 것을 권하고싶다. 요하문명은 우리 민족의 조상이 일군 문명이고 만주와 요하, 한반도는 모두 우리 조상의 생활터전이었다. 그러나 현재 강단사학은 일제식민사관에 매국매족사관까지 더해서 중국의 동북공정에 입을 다물고 고고학적으로 증거가 뚜렷한 요하문명과 홍산문화를 부정하고있으니, 한국의 강단사학자들은 한국인이 아니라 중국인인걸까 극히 의심스럽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협찬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S 프랑스어 말하기 첫걸음 2 - 절대다수가 믿고 선택한 기초 프랑스어 바이블! SOS 프랑스어 말하기 첫걸음 2
송주아.시원스쿨 프랑스어연구소 지음 / 시원스쿨닷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어는 영어보다 어려운 언어다. 적어도 더 어렵다고 느껴지는 언어다. 게르만이 모태인 영어와 달리 불어는 로망스 계열이라 그런지도 모르지만 단어가 여성 남성으로 나뉘는 것도 그렇고 같은 인도유럽어족이라도 동사 변화가 자유분방한데다가 악상 그라브 악상 씨르꽁쁠렉스 쎄디유같은 부호가 귀찮고 (물론 영어에 비해 철자가 "있어보이는"효과는 있다) 리에종에 이르면 짜중부터 난다. 아뭏든 체계가 영어보다 복잡하고 그넘의 성수일치 신경쓰다보면 '영어에는 남성여성 구분이 없으니 참으로 기쁘다'는 모 씨의 말이 실감난다. 그래도 왕년에, 말하자면 아득히 먼 천 년 전에 노르만 프렌치가 영국의 지배층 언어가 된 덕분(?)에 불어와 영어가 비슷한 면이 있으니 배우기에 아주 생소하지는 않아서 그나마 다행이라할까.

시원스쿨의 <SOS 프랑스어 말하기 첫걸음>은 제목에서 보는 것처럼 초보자를 대상으로 한 프랑스어 교재인데 특히 말하기(회화)에 중점을 둔 책이다. 문장을 하나씩 따라 말하면서 회화와 문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으며, 각 단원마다 6단계의 코스로 짜여져있다.

1. 지난 시간 복습

2. 오늘의 학습 (핵심 설명 / 예문 구성)

3. 대화로 말해보기 (회화 연습)

4. 연습문제 (확인 및 응용)

5. 표현 더하기 (다양한 표현+발음과 뉘앙스 꿀팁)

6. 문화 탐방 (쉬어가기 코너)

<SOS 프랑스어 말하기 첫걸음>은 시리즈로 모두 3권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이 두번째 권에서는 반모음(l,ll,y),프랑스어 연음, 관사, 의문사, 인칭대명사, 숫자를 중심으로 학습하게 되어있다. 조금 아쉬운 것은 원어민 녹음 mp3이 책의 저자가 강의하는 "프랑스어 왕초보 탈출 1,2,3탄"과목을 수강해야 무료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래도 기초부터 차근차근 실력을 쌓고싶다면 강의와 교재를 병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겠다. 이 책은 초보자를 타겟으로 하고있는만큼 가장 기초적인 부분을 다루면서도 간단하게 핵심만 설명하고 있으며,내용이 회화 위주의 예문 따라하기여서 프랑스어를 실용적으로 말하면서 배우고싶어하는 사람에게 적당하다. 참고로 출판사인 시원스쿨 브랜드는 2020년 한국 고객만족도 1위, 소비자 선정 최고 브랜드 대상을 수상했다.



* 출판사에서 도서만 무상으로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도시 바로 알기 1 : 서부유럽.중부유럽 세계도시 바로 알기 1
권용우 지음 / 박영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외여행을 다녀오기 전에도 또 다녀온 후에도 무언가가 빠진 듯이 마음이 허전할 때가 있습니다. 멋진 경치를 감상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고 그 곳에서 즐길 수 있는 놀거리도 실컷 즐기고왔는데 왜 마음이 헛헛한 걸까요? 돈과 시간을 들여서 멀리 외국까지 다녀왔건만 막상 그 나라, 내가 방문했던 외국 도시에 대해 딱히 알고있는 것이 없어서 그런 것은 아닐까요? 물론 방문한 나라에 대해 속속들이 잘 알고있어야한다는 법은 없지만 '아는만큼 보인다'는 격언이 그냥 나온 말은 아닐 겁니다.
<세계도시 바로알기>의 저자 권용우 님은 도시지리학을 전공하고 34년간 60여 개 국가의 도시 수백 개를 답사한 분입니다. 모 대학교에서 '세계도시 바로알기'라는 과목으로 25년 간 강의를 하기도했고요. 그 강의를 바탕으로해서 나온 것이 바로 이 책 <세계도시 바로알기>랍니다.
물론 그 많은 세계도시를 한 권에 다 담을 수는 없으니 당연히 시리즈로 출간되는데 그 첫번째 권은 "서부유럽, 중부유럽"편입니다. 2개의 왕국(영국, 네덜란드)과 4개의 공화국(독일,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을 살펴봅니다. 요즘 유행하는 개개인 여행경험담을 쓴 개별에세이가 아니라 학문적으로 접근한 글이어서 세계각지의 유수한 도시를 '총체적 생활양식론"의 관점에서 풀어놓고있어요. 3가지 패러다임으로 도시의 총체적인 특성을 알 수가 있는데 패러다임의 첫째는 언어, 둘째는 산업, 세째는 종교입니다.
이 3가지 요소로 접근해보는 도시이야기에서 영국은 친환경적인 전원도시, 신도시, 저탄소주거지를, 네덜란드는 수도 암스테르담, 정치행정중심인 헤이그, 유럽의 관문인 로테르담에 대해 알아보고요. 독일에서는 한자도시 함부르크, 환경도시 프라이부르크, 마을도시 뮌헨, 바람길도시 슈투트가르트를 만날 수가 있습니다. 스위스에는 국제도시 제네바말고도 최대도시 취리히, 수도 베른, 교역과 문화가 중심인 바젤이 있지요. 
이렇게 각국의 역사와 문화와 함께 현재 이 주요도시의 형성과 생활양식을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나라의 과거와 현재를 보다 바르게 알고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요? 각 페이지마다 사진과 지도가 들어있어 독자의 관심과 이해도도 높여줍니다. 2023년까지 7권이 출간될 예정인데 인문지리학적 관점에서 풀어본 대중교양서로 꼭 추천하고싶은 책입니다.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 200%이벤트에 당첨되어 출판사에서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두 개의 달 시화집 겨울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윤동주 외 지음, 칼 라르손 외 그림 / 저녁달고양이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화집. 단어 그대로 시와 그림이 함께하는 책이다. 어릴 때 시화전같은 전시회에서 감탄하며 즐기던 기억이 나는데 이런 시화집도 평소에는 조금 메말라있을 감성을 적시기에 좋은 책인 것같다. 

<열두개의 달 시화집 겨울>은 제목처럼 겨울인 12월, 1월, 2월을 담았다. 그림은 3인의 화가ㅡ 칼 라르손, 끌로드 모네, 에곤 실레. 시는 윤동주 이외 32명이나 되어서 어떻게 보면 그림을 그린 화가 숫자에 비해 시인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셈이다. 우선 이 책은 표지부터가 잔잔하면서 예쁘다. 연회색 바탕에 섬세한 푸른 꽃무늬가 겨울답게 차분한 서정을 불러일으킨다. 시인은 윤동주 말고도 김영랑, 백석, 심훈, 이상화, 노천명, 변영로, 정지용, 한용운, 박인환처럼 교과서에도 나오는 유명한 문인이 대부분이다. 외국시인도 있는데 이름이 낯선 일본인 몇 명(물론 하이쿠 좀 안다는 사람에게 바쇼는 유명하지만)이 있고, 서구인으로는 크리스티나 로세티와 라이너 마리아 릴케가 그 이름을 올렸다. 

시는 일반적인 산문과 달라서 그 정제된 언어와 함축적 내용이 사람들로 하여금 이런저런 상념에 젖게하고 감성을 촉발시키고 마음을 정화시키는 힘이 있다. 그림도 시와 비슷해서 화가가 보여주는 시각적 내용은 사람으로 하여금 그 마음에 여러가지 감정과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오랜 옛날부터 시라는 장르와 회화라는 장르가 인류의 역사와 함께하고있는 연유이기도할 것이다. 

시간이 그리고 계절이 겨울이어서 그런지 이 책에는 겨울이나 눈, 인생의 허무, 죽음, 이별, 슬픔, 고독 등을 소재로 한 시가 많은 듯하다. 



홀로인 것은 

나의 별이겠지

은하수 속에.


- 잇사


이런 짧은 문장에서도 많은 것을 때로는 유독 공감을 일으키는 것이 시가 가진 매력인지도.



(전략)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새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어올 적이며, 

내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또 내스스로 화끈 낯이 붉도록 부끄러울 적이며,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 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후략)


-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중에서


백석의 시인데 특히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라는 구절이 마음을 그렇게 칠 수가 없어서 눈길이 한참을 머물렀다.



When I am dead, my dearest,

Sing no sad songs for me;

Plant thou no roses at my head,

Nor shady cypress tree:

Be the green grass above me

with showers and dewdrops wet:

And if thou wilt, remember,

And if thou wilt, forget.

(후략)


- Song 중에서


크리스티나 로세티의 시 앞부분이다. 크리스티나는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의 누이이기도하지만 뱀파이어 이야기를 쓴 폴리도리의 질녀기도한데 'if thou wilt, remember. if thou wilt, forget' 여기서 그만 먹먹해진다. '기억하고싶다면 기억해주세요. 잊고싶다면 잊어주세요'. 그런 뜻이겠는데 삶이 그러한 것임을 인간의 마음도 그러한 것임을 시인은 담담히 읊고있다.


책 맨 뒷편에는 시인과 화가에 대한 소개가 있어서 그들에 대해 좀 더 알 수 있으니 도움이 된다. 인상파의 대표주자인 모네나 표현주의의 에곤 실레에 비해 스웨덴 출신의 칼 라르손은 그 유명세가 앞의 두 사람에 비교하면 훨씬 덜하지만 그만의 독특한 사실주의적 화풍이 담긴 그림을 보는 것이 재미있었다.

이 시화집으로 올 겨울, 마음 깊은 곳에 품고있던 서정을 따뜻하게 녹여보는 것도 아름다운 시와 그림을 함께 감상해보는 것도 독자의 입장에서는 좋이 바람직하리라.




* 출판사에서 도서만 무상으로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사를 바꾼 돈
안계환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의 '돈을 향한 욕망'이 역사를 움직였다고 한다. 과연 그러했을까? 

<세계사를 바꾼 돈>(안계환 저/클라우드나인)은 인간의 욕망을 지렛대로 삼아 돈을 주제로하여 세계의 역사를 고대부터 근대에 걸쳐 샅샅이 탐방한다. 

고대에 서양이 돈을 찾아 떠났다면 고대에 동양은 통일을 돈으로 이룩했다. 중세에 유럽은 종교를 무기로 사람들에게 천국으로 향하는 티켓(면죄부)를 팔았으며 근대의 왕권은 국가를 마치 사업이라도 하는 것처럼 운영하고 지배했다.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과는 좀 다르겠지만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동방원정을 감행한 것도 다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단순한 정복욕구보다는 그리스 세계보다 훨씬 부유한 동방의 페르시아 황금이 알렉산더와 병사들을 유혹했던 것이다. 로마의 케사르는 갈리아(지금의 프랑스)를 정벌하면서 갈리아 원정기를 남긴 것으로도 유명한데 그 무렵 금은보화는 동방에 풍부했지 야만의 땅 갈리아에는 전혀 있지도않았다. 그러면 케사르는 어떻게 이 전쟁으로 돈을 벌게 되었을까? 그는 갈리아 원정 당시에 잡은 전쟁포로를 모두 노예로 팔아 한몫 단단히 챙겼다. 물론 고대는 기본적으로 노예제사회였으니 사람을 사고파는 것이 놀랍거나 이상한 일은 아니었다. 기독교를 공인했던 로마의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기독교를 '인정'했다기보다는 '이용'했다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하지않을까. 당시 기독교인은 지역적으로는 동방에, 직업적으로는 군인이 많았기에 동로마의 황제와 싸워 이기려면 기독교친화책이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었다. 더구나 기독교를 인정하고 후원하면 기독교아닌 다른 종교의 신을 섬기는 신전의 권위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므로 그 많은 타종교 신전이 소유하고있는 재물을 빼앗는 데 아주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었다. 십자군운동도 마찬가지였다. 오직 종교적 열정만으로 많은 사람들이 성지 예루살렘으로 몰려갔겠는가? 교황은 교황대로 자신이 기독교 최고의 주권을 차지하려는 야심이 있었고, 십자군에 참전한 기사는 기사대로 전리품과 영토를 챙기려는 목적이 따로 있었다. 특히 제 4차 십자군이 베니스 공화국과 함께 같은 기독교국가인 동로마의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하여 약탈과 파괴를 일삼은 만행은 지금도 회자될 정도다. 왕비를 여섯명이나 갈아치운 것으로 유명한 헨리 8세. 그는 가톨릭과 결별하고 스스로 영국국교회의 수장이 되었는데 물론 그 원인으로는 아들을 낳기위한 이혼 목적도 있었지만 수도원이 토지와 건물 등 재산을 몰수함으로써 얻게되는 이득도 당연히 계산했음이 분명하다. 

"바보야, 문제는 경제야!" 1992년 미국 대통령선거에 출마했던 당시 아칸소 주지사 빌 클린턴은 이 핵심적 선거구호로 유권자의 마음을 움직였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자가 이 책에서 동서고금의 역사적 사례를 이것저것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개인사도 사회사도 아니 국가도 인류도 모두 경제적 이유가 알게모르게 크게 작용하고있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렵겠다.

"바보야, 문제는 돈이야!"

그런가? 그렇다. 역시 문제는 돈이었던 것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만 무상으로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