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플란트 위험하다 - 치과의사의 반란
최병호 지음 / 맥스미디어 / 2015년 10월
평점 :
연대 원주캠퍼스 치대 명예교수 최병호 박사님이 2015년에 펴낸 [임플란트 위험하다], 3년만인가 2회독을 하니 책과 저자의 위상이나 의미가 좀 분명해진다. 훌륭한 책이다!
임플란트 하지 말라는 게 아니고, 좀 알고 잘 선택해 하시는 게 좋다는 건데, 대학병원 교수님으로 진료 및 시술 프랙티스와 함께 연구와 실험을 병행할 수 있었기에 가능한 업적이다. 한 가지를 보탠다면 개원의의 영리목적이 최우선이 아니었다는 점까지..
- 임플란트 시술자 5명 중 1명 꼴로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하고, 미국의 경우 10%에서 신경손상이 발생했다는 연구가 있다.
- 보통 임플란트는 당연한 듯 잇몸을 절개하고 뼈막을 벗긴 뒤에 하는데, 그건 의사가 뼈를 보고 임플란트를 심어야 한다는 상식적인 근거에 기초한다.
- 근데 동물실험 결과 잇몸 절개는 자체로 혈액순환 장애요인인 돼 혈류량이 반 가까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러면 산소와 양분공급이 부족해 염증에 취약해진다.
- 환자들은 잇몸 절개를 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태반일텐데, 꼬맨 실밥이 있고 1주일 소독약 가글을 시켰으면 그게 잇몸절개를 한 거.
- 절개를 안 하려면 3D CT와 구강스캐너라는 디지털 장비를 갖추고 구강내장치를 통해 시술해야 한다. 2015년 기준 국내 구강스캐너 도입 수량은 300대.
- 비절개 임플란트 시술은 5분이면 끝난다!
디지털장비를 통한 비절개 임플란트 시술의 장점이 특히 발휘되는 경우는
- 잇몸뼈가 조금 부족하거나 해서 난이도가 있는 시술의 경우 '미리' 시술 모습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시술을 받을 수 있다는 점,
- 박사님이 조사한 바로는 90%에서 필요없는 뼈이식이 이뤄졌다!
- 아랫턱 임플란트 시술시 발생빈도가 높은 신경손상도 미리 3D 시각자료와 구강내장치를 통한 제어된 시술을 통해 방지된다.
- 윗니 끝 어금니 부위는 상악동 뼈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이때 기존 방식으로는 뼈막 손상으로 인한 염증 발생 위험이 작지 않음.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교수님은 달걀 껍질에 구멍을 내고 물을 주사해 껍질 안쪽에 부착된 흰 막을 분리하는 실험을 통해 뼈막 손상 없는 새로운 상악동 뼈이식 수술법을 고안하셨다는 부분이 개인적으로 압권이었음! 개업의라는 조건에서는 가능하지 않았을 연구의 모습!
- 임플란트가 비쳐서 시술부 잇몸이 파랗게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뼈 1mm가 있으면 방지할 수 있다, 그 1mm가 되는지 확인하는 건 3D CT와 구강스캐너를 통한 디지털분석을 해야 가능하다.
- 발치 후 바로 이식은 발치부 잇몸뼈가 날카롭게 패여있어 드릴이 미끌어지고 원하는 곳에 심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하지 않아야 한다.
- 임플란트 심은 뒤 바로 치아를 올리는 건 디지털영상장비를 통해 가능하다.
- 3D CT와 구강스캐너가 있으면 본을 뜨는 고역이 필요없다!
- 교수님 개인경험으로, 디지털영상장비와 구강내장치 없이 시술해서 결과가 더 만족스러웠던 적은 없다!
교수님은 이 비절개 '플랩리스 임플란트'로 2009년 미국 트리플오 최고논문상과 연송치의학 대상 수상 이래 이 시술법의 세계적 보급에 오픈마인드로 나서셨다. 영리보다 인술!
문제라면, 퇴직 후 개원하신 곳이 원주라서 조금 멀다는..
아마도 성심당이나 김장하 선생님처럼 지역 사랑 마음 아니시겠나 짐작.
나 이제 임플란트 하러 치과 찾아나서야 함... '구강스캐너'로 치과검색을 해보니 제법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