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윳따 니까야 6 - 진리를 위주로 한 가르침
각묵 지음 / 초기불전연구원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들숨날숨 상윳따(S53)를 봐야 디가의 대념처경이나 맛지마의 출입식념경 등과 아울러 교학에서의 비중이 가늠되는 등 전체적인 이해가 얻어지는 점이 있다! 진리 상윳따(S56)도 연기에 관한 가르침인 2권에 더해 같이 보면 좋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상윳따니까야 5권을 보면서 도시 감도 안오던 4여의족도 여기 여의족 상윳따(S51)을 보니 개념적으로나마 조금 얻어지는 게 있었고..

철환 경(S51:22), 웨살리 경(S54:9), 사라까니 경1(S55:24), 난디야 경(S55:40), 삼매 경(S56:1), 꼬띠가마 경1(S56:21), 백 자루의 창 경(S56:35), 구멍을 가진 멍에 경1,2(S56:47,48) 등 인상적이고 중요한 경들이 여기 6권에 있다.

이제 상윳따 제1권과 앙굿따라 제6권만 보면 4부 니까야 1독 달성한다...... ()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