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ed by aladin
왕이 못 된 세자들 표정있는 역사 9
함규진 지음 / 김영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김영사 출판사에서 아주 흥미로운 책이 나왔다.
이제껏 왕을 주제로 한 책들이 주를 이루었는데 이 책은 왕이 되지 못하고 불후한 삶을 
살다간 세자들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듯 한 주제를 가지고 깊이 들여다볼 기회가 없었는데 왕이 되지 못해 잊혀져가던  세
자들을 자세히 알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거 같다.


조선왕조의 세자는 모두 27명이었는데 그 중에서 실제로 왕이 된 세자는 15명 밖에 되지
않았단다.
실질적으로 27명의 왕들 중에서 12명이 세자를 거치지 않고 왕이 되었고 12명의 세자가
왕이 되지 못한채로 죽었다.
한 나라의 세자가 되었다는것은 다음 왕의 자리를 보장 받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에서는 그런 보장된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끝내 왕위에 오르지 못한 세자가 
12명이나 되었다니 어떻게 그럴수 있었을까?
권력에 살해 당한 최초의 세자 이방석을 시작으로 폐세자가 된 양녕대군, 아버지에 의해
죽임을 당한 소현세자와 사도세자,  아버지가 폐위되면서 함께 쫓겨나야했던 이황과 이질,
그리고 이 책을 인용하여 춘궁 뒤뜰 봄볕이 다하기도 전에 떠난 의경세자 이장, 순회세자
이부, 효장세자 이행, 문효세자 이향, 효명세자 이영, 그리고 보는 내내 가슴 아팠던 조선마
지막 세자 영친왕 이은까지..
이 책을 보면서 세자의 삶이란 어쩜 최고의 권력을 가지는 대신 여느 여염집 자녀들보다도 
못한 삶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주 어릴때부터  힘든 세자수업을 하고 벌써부터 권력이라는 틀에 묶여 숨조차 크게 쉬지 
못한 그들의 위태로운 삶이 보는 내내 안타까울수 밖에 없었다.
권력때문에 아버지와 형에게 죽임을 당하고 병마에 자신의 능력조차 한번 제대로 꽃피우지 
못한 세자들.. 
이런 세자들이 제대로 왕위를 물러받았다면 지금과는 다른 결과가 펼쳐지지 않았을까?
지금과는 또 다른 미래가 펼쳐지지 않았을까?
그러한 의문이 생길만큼 그럴 능력을 지닌 세자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을 보는 내내 가장 가슴이 아팠던 조선의 마지막 세자 영친왕 이은..
나라가 힘이 없어 세자를 납치하는 것도 끝내 막지 못했음에도 그를 친일파라 하고 그는 끝
내 쓸쓸하게 세상을 떠났다.
처음도 끝도 모두 역사의 잘못이고 우리의 잘못인데 그에 비해 모든 잘못은 그가 대신 받고
떠난 듯 해서 보는 내내 가슴이 아파 눈시울을 적시게 했다.
이렇듯 이 책은 그저 스쳐지나가듯 지나쳤던 그들의 삶을 다시 짚어볼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이 책은 무척 재미있었다.
이렇게 가슴아픈 역사를 이야기하면서 재미있다는 표현이 좀 어색하지만 흥미를 가지게 하고 
가슴 아픈 역사까지 되돌아볼수 있게 만들어주었으며 그들의 삶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다
는 생각까지 가질수 있게 해주어서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던 좋은 책이었던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