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일 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 역사를 바로잡기 위한 <반일 종족주의> 비판
김종성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출간 배경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 보복으로 작년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우리의 지소미아 폐기론 및 불매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양국은 첨예한 대립의 국면을 보였다. 그 와중에 작년 논란의 중심 속에서 한일 양국을 다시 한번 뜨겁게 달군 문제의 '반일 종족주의'가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자는 전 서울대 교수 이영훈을 필두로 하여 이승만 학당과 낙성대경제연구소에 소속된 학자 5명이다. 이들은 일본 아베 정권 및 현재 일본 정치의 근간을 이루는 극우보수 세력과 결이 같은 한국의 뉴라이트(신우익)의 입장을 표명한다. 일제 강점기를 이른바 '식민지 근대화론'으로 미화하며 강제징용, 위안부, 토지 및 쌀의 수탈 등 일제의 반인권, 반인륜적 행태를 부정하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한다. 하여 그에 대한 비판을 '반일 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에 담고 있다.

'반일 종족주의'가 불편한 이유

제국주의의 탐욕으로 인권을 유린하고 치욕과 절망 속에서 국권을 강탈당한 35년의 역사, 일제 식민지!

그들은 이 시기를 일본이 한국의 경제적 발전과 근대화에 이바지했다고 주장한다. 독도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에 대해서는 '반일 종족주의의 최고 상징'으로 보는데, 양국의 분쟁 씨앗인 독도에 대해 '결론은 침묵하고 최종 해결은 먼 훗날의 세대로 미루라'라고 하며 그래야만 우리의 판단력과 자제력 면에서 선진사회로 진보한다고 역설한다. 강제징용과 위안부에 대해서도 같은 태도를 견지하고, 차별과 인권 유린을 부정한다. 오히려 조선 청년들에게 일본은 로망의 대상이었다는 망언도 서슴지 않는다. 일본이 착복한 강제 징용 봉급 문제에 대해서는 같은 한국인이 갈취했기 때문에 일본은 책임이 없다는 것, 1965년 청구권 협정은 끝났으므로 한국은 더 이상 일본에 청구할 것이 없고 오히려 일본이 받아야 한다는 것, 대대적인 수탈이 있었다면 미디어에 보도가 되었을 것이라는 것, 을사오적을 옹호하며 그들에게 죄를 묻는 것은 정신문화의 지체라고 피력하는 등 일일이 지면을 할애하는 것조차 피로감이 몰려온다. 자신들의 의견을 뒷받침하는 근거에도 모순 투성이인 오류가 많아 설득력과 신뢰성이 떨어진다. 그들의 주장은 다큐멘터리 영화 '주전장'에 등장하는 일본 역사수정주의자들과 놀랍도록 똑 닮았다.


우리 국민들의 보편적인 정서에 반하는 이와 같은 궤변을 쏟아내며, 그들이 일본 정권의 대변인으로서 자처하는 저의는 무엇일까? 이영훈은 그의 스승인 안병직과 1989년과 1992년에 도요타 재단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식민지 연구를 수행했고, 공동저자인 이우연은 일본 측의 자금 지원을 받아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일본의 강제징용을 부정했다고 한다. 이들은 대부분 박사 출신의 지식인으로 강단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거나 객관적인 사실을 보도해야 하는 기자 출신인데, 그들의 윤리 의식과 역사관이 정말 개탄스럽다. 일본의 러브콜에 응한 한국인들이 그들로부터 모종의 대가를 받아 자신들의 탐욕을 채우고, 국민의 분열을 조장하는 데 앞잡이가 되었던 것은 우리의 지난 35년 역사에도 존재했다. 우리는 그들을 친일파라고 불렀다. 특히, 이영훈은 과거 100분 토론에서 이와 같은 막말로 여론의 뭇매를 맞자 위안부 할머니들께 사죄하며 고개를 숙인 일이 있다. 그로부터 15년 후 또다시 번복하여 문제의 서적을 출간했다. 상황과 잇속에 따라 자신의 입장을 바꾸는 사람을 우리는 기회주의자라 하는데, 이는 친일파 종족들의 특징이다.


우리 역사의 가장 안타까운 점 중 하나는 바로 친일파의 청산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미국의 이기주의를 등에 업고, '친일 청산은 곧 공산주의'라는 시대적 분위기에 휩쓸려 살아남은 그들의 질긴 생명력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사회 각 요직을 꿰차며 한국 사회에 뿌리를 깊게 내린 그들의 행보를 보고 있자니 과거의 식민지를 강하게 연상케 한다.


자민족 우월주의에 기반한 천황 중심, 군국주의의 부활을 꿈꾸는 아베 신조가 목숨보다 최우선으로 여기는 무결점 일본 대제국 실현에 혁혁한 공을 세우고 있어, 일본 내에서 이들은 '한국 내 양심적인 학자'로 통한다. 아무리 민주주의 국가에서 자유롭게 자신의 소신을 밝힌다고 해도 그것은 윤리적 토대 위에 공공의 선을 위한 자유이어야 할 것이다. 모국의 근간을 부정하고, 자신의 신분을 망각한 채 정치적 목적으로 지위와 지식을 이용하는 본인들을, 과연 '학자'라고 칭할 수 있는지 자문해 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