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
최준식 지음 / 김영사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최준식 / 김영사

부제 : 아름다운 삶을 위한 죽음 공부









아름다운 삶의 졸업식을 어떻게 치를지에 대한 마음의 준비물을 챙긴다.



책에서 저자는 죽음을 맞이하는 합리적인 방법을 찾는다는 것.


죽음은 죽은 자의 운명이 달라지는 것이지만 그것을 감당해야 하는 것은 살아남은 자의 몫이기도 하다. 한국인의 죽음학을 연구한 저자는 죽음을 맞이한 본인은 물론 가족들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준비물들에 대해서 차근차근 챙긴다.


죽음을 목전에 둔 사람들이 유언장을 어떻게 써야 할지,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지속할지 아니면 처음부터 거절할지 와  죽음을 앞두고 몰아치는 고통의 물결 앞에 어떻게 대항할 것인가와 유족들의 마음을 어떻게 잘 보다듬을까가 그 주요 내용인데....


대부분 우리는 삶과 죽음의 선을 냉정하게 긋고 그 선을 넘는 것을 아주 혐오하고 생각조차 하지 않으려 하며, 하물며 공자가 생전에 했던 사후 세계에 대한 질문을 터부시함은 물론 망자들의 동산인 공동묘지와 화장장 등은 절대 내 마을에 와서는 안 될 시설들로 혐오시 하는 우리의 문화에서는 그 선을 넘어가는 행위에 대해선 아무도 아무런 준비를 하지 않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


그게 아니면 이 생에서도 살아가기 힘든데 그 언덕을 넘어서의 고민까지 지금 하는 것이 너무 사치스럽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노후에 조금이라도 안정적인 삶을 위해서 없는 돈을 끌어모으고 원하는 아파트와 주식에 올인하고자 부담스러운 대출까지 끌어다 위태롭게 준비하는 많은 사람들이 왜 그 종점에서 누구든지 반드시 만나야 하는 삶의 졸업식에 대해서는 왜 다들 이리 무심한 것인지 잘 모르겠다.


저자의 말대로 조금이라도 여유가 있는 시점에 당하는 죽음이 아니라 맞이하는 죽음을 준비해야 할 때가 아닐까...


아직은 삶의 자전거라는 페달을 열심히 밟아야 하는 시점이라 나도 전혀 생각을 해본 적이 없는 '임종학'이라는 학문의 창문을 살짝 열어본 나이고 아직은 이 책의 그림자를 밟아 따라갈 일은 없는 지금이지만, 주위에 부모들의 죽음을 목도한 사람들에게는 한 번은 읽어보라고 권해볼 책이다.


절대 죽음은 당하는 것이 아니라 맞이하는 죽음이 돼야 하기에.....






***








_ 우리의 몸이 너무 낡아서 더 이상 우리의 영혼 혹은 의식을 담을 수 없게 되면 우리의 영혼은 자동적으로 몸을 빠져나갑니다.


_ 이른바 '죽음'이란 그리 슬퍼할 일이 아닙니다. 이 힘든 지상에서 삶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가는 것이니 졸업식과 같은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_ 한 사람이 평생 쓰는 의료비 중 절반을 죽기 전 한 달 동안 받는 치료에 쓴다고 합니다. 특히 죽기 전 3일 동안 그 의료비 중 25%를 쓴답니다. 마지막 단계에 마구 쏟아붓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 치료는 정말로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아무 효과도 없으니까요, 그러니 이때 들어가는 돈은 그냥 버리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게 돈을 버리는 것도 아깝지만, 그런 치료가 당사자를 더 고통스럽게 만드니,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_ 의사들이 진통제 처방에 소극적인 이유는 마약류는 당국의 관리 대상이라서 잘못 관리하다가는 처벌을 받을 위험이 있고 제한적인 의료보험의 처방 인정 관행과 의사들의 말기 통증관리에 대해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


_ 국내 호스피스 병동을 갖춘 종합병원은 10여 개. 필요 병동은 2,500개 정도이나 현재 운용되는 병상은 900개가 좀 안되는 형편, 겨우 최근에 호스피스가 건강보험 급여에 포함됨.


_ 임종 환자의 경우 연명술로 다시 살려낼 수 있는 시간은 20~30분. 말기 암 환자의 삶을 연장하기 위한 고통의 시간이 연장되는 것일 뿐. 게다가 전기 충격은 잘못 시술시 뇌에 치명적일 수도 있다.


이번 기회에 수의에 대한 발상 자체를 바꾸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그러니까 수의를 꼭 새 옷으로 장만하지 말고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옷을 가져다 쓰면 좋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지요. 고인이 마지막 가는 길이니 새 옷을 지어드리자는 생각도 좋지만, 한 번 더 생각하면 고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새 옷을 입히는 것보다 생전에 즐겨 입던 옷을 입혀드리는 게 더 낫지 않겠느냐는 것입니다. 그러는 게 쓸데없는 낭비도 줄이고 고인을 편안하게 해드리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





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임종학 강의 - 최준식 / 김영사

------------------------------

어느날 갑자기 당하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죽음을 생각하고 준비하자는 내용으로, 생을 마감하는 자와 살아남은 자 모두에게 삶의 졸업식을 잘 차분하게 삶을 마감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