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최초의 전문 산악인 창해 정란 - 조선의 산야를 누비다
이재원 지음 / 책이라는신화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해 정란

이재원 / 책이라는 신화

이 책은 팩션에 픽션을 감미한 역사서이다.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에 그의 발길이 닿았던 현장에서 느끼었을 법한 소신과 감회를 시대를 앞서간 선각자의 입장에서 조선 최초의 등반 여행가로서의 면모를 표현하고자 저자가 노력한 흔적을 여기 저기서 접하게 된다. 이 책에는 정란의 행적을 살펴보고 조선의 풍경을 짐작할 수 있도록 돕는 자료가 많이 들어있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에 충분하다. 선각자의 눈에 비친 전국 명산대천을 주유하며 무수히 많은 사람들과 풍경을 보게 된다. 그러나 역시 이 책의 한계도 보인다. 남겨진 자료가 적다 보니 사건 전개과정이 인물 중심일 수 밖에 없다. 사정이 이러하니 책의 서두에 등장하는 주요 등장인물 소개만 보아도 대충 책의 내용과 전개과정을 미루어 짐작할 수있다.

창해 정란 그는 색 다른 벽을 가졌던 선각자이다. 노세 한 마리 노비 한명과 함께 단촐하게 유람을 즐겼고 백두산에서 한라산까지 열심히 산을 올랐다. 이러한 결과물로 불후첩도 3책이나 남겼고 그러면서도 서화수장가이기도 했고 풍류객이면서 시인이고 문장가이기도 했기에 문집을 남겼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아서 아쉬움이 남는다. 김홍도의 <단원도> <마상청앵도>와 최북의 <기려행려도>에서 노새를 탄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관여했고, 제주거상 김만덕과 조우했다. 그러한 그를 세상사람들이 외면하고 조롱했지만 그는 그의 길을 묵묵히 걸었다. 많은 사상가와 예인을 만나 평생 뜻을 이어가고자 했던 창해 정란 그의 모습을 4부에 나누어 제1부 산수병에 걸릴 숙명, 2부 길 위의 인연, 3부 조선의 바람 백두산을 뒤덮다. 4부 발자국에 고인 빗물로 편집하여 KBS 원주 지국장을 지냈고 지금은 역사저술가로서 강연과 집필을 병해하고 있는 이재원이 잘 버무려 맛을 더하고 있다.

300페이지가 넘는 두꺼운 분량의 책이지만 기나긴 가을밤 밤을 세워 단숨에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