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쇼펜하우어, 딱 좋은 고독 ㅣ 매일 읽는 철학 2
예저우 지음, 이영주 옮김 / 오렌지연필 / 2019년 3월
평점 :
절판
철학을 좋아해서 철학에 관한 책을 자주 읽지만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예저우 쇼펜하우어, 딱 좋은 고독 이 책을 통해서 처음으로 접해보게 되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첫 장부터 내게 충격을 주었다. 그동안 읽었던 철학책과 심리학책 등과는 너무나도 달랐기 때문이다. 항상 긍정적이고, 즐거운 생각을 하라는 다른 책들과 달리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적극 사고하라. 이 무슨 해괴망측한 소리인가? 비관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때로는 도움이 된다? 저자인 예저우는 이를 저축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다. 항상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번 돈을 다 쓰는 사람과, 있지도 않은 미래를 불안을 대비해서 번 돈의 일부분을 저축하는 사람. 누구의 미래가 더 밝을까? 당연히 후자이다. 이 예를 읽고 나자. 다른 철학자들과 전혀 다른 쇼펜하우어 그만의 철학에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철학자들과는 전혀 다른 쇼펜하우어의 철학. 그는 어떻게 해서 이런 사고를 하게 되었을까? 이 책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그의 삶을 15살로 되돌린다. 그는 비교적 이른 나이인 15세에 유럽을 일주한다. 보통 여행을 하면 삶을 낙관적으로 보고 많은 것을 보고 즐길 테지만 그가 살았던 시대는 매우 우울한 시대였다. 이런 시대적 배경의 그를 이렇게 위대한 철학자로 탄생시킨 것이다. 우울하고 어두운 시대에 위대한 철학자와 사상이 탄생했다니, 이런 사실 또한 내게는 놀라운 것이었다.
저자는 스트레스와 좌절이 닥치더라도 이를 극복하고 자기 성장의 기회로 삼을 것을 주문하고 있다. 성공한 사람들은 단 한 번의 실패도 경험한 사람이 아니라 무수히 많은 실패와 시련을 겪고 일어선 사람들이다. 자신의 앞에 고통과 좌절이 닥치더라도 이를 극복해 내느냐 아니면 그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느냐는 자신에게 달려 있다. 즉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자기 자신을 향하고 있다. 그는 사람이 겪는 좌절과 고통을 성장의 밑거름으로 활용하기를 주문하고 있다. 우리가 100년에 가까운 인생을 살면서 고통과 좌절을 경험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인생에서 고통과 좌절을 경험하지 않는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될까?
니체에 이어서 예저우의 철학책은 2번째로 읽었다. 그는 철학자의 말에 동서양의 여러 가지 사례를 덧붙여서 어려운 철학을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서 고독과 외로움, 좌절 뒤에 찾아오는 내면의 평화를 맞이해보자. 이 세상 모든 것은 자신을 향한다. 예저우의 쇼펜하우어의 고독을 통해서도 이 사실을 다시 깨닫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