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님이 웃었어 사계절 그림책
기쿠치 치키 지음, 황진희 옮김 / 사계절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검정, 빨강, 파랑, 노랑 등의 강렬한 원색을 사용해 작품을 그리고 만드는 기쿠치 치키 작가님. 작품마다 제작 방법(수묵화, 목판화)은 달라도, 작품을 통해 작가님이 표현하려 하는 이야기는 언제나 선명하다. 자아 확립 및 상호 존중의 과정(『흰 고양이 검은 고양이』), 신나는 놀이 과정(『왜 좋은걸까?』), 밴드의 행진 과정(『치티뱅 야옹』) 등의 방식을 통해 작가님이 나누고자 하는 이야기는 언제나 분명하다. 모든 생명은 연결되어 있다는 자연의 진리를 기억하자고. 그렇기에 언제든, 어디서든, 누구든 살아 있는 모든 생명과 함께 경계를 허물고 마음을 나누며 연결될 수 있다는 자연의 초대를 반갑게 받아들이자고.


이와 같은 메시지를 바람과 함께 나서기 시작한 어린아이의 ‘산책’ 과정을 통해 생동감 있게 전달한 작가님의 신작 『해님이 웃었어』. 한 장 한 장 천천히 들여다보는 동안 해사하게 웃는 아이의 노란 얼굴과 내 얼굴이 점점 겹쳐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겉표지에서 이미 끝난(이수지 작가님의 표현을 빌리겠다) 원색의 향연에 급격히 빠져들면서. 장마다 펼쳐진 자연스러운 원색의 조합에 살며시 스며들면서. 한 권 가득 채워진 원색의 손길에 온 마음이 붙잡히면서.




아이는 산책길에서 마주한 모든 장면과 거리를 두지 않는다. 그 장면 ‘안’으로 들어가 자신의 걸음과 몸짓으로 지금의 순간을 충만하게 체험한다. 아이는 벌레들이 건네는 이야기에 살며시 귀를 기울이고, 꽃과 나비가 함께 춤추는 꽃밭 위에서 춤을 추듯 걷는다. 스쳐 지나갈 법한 전경 안에 기꺼이 눈길을 두고, 그 안을 채우는 여러 생명들의 작은 움직임 하나하나에 마음을 둔다. 커다란 나무의 뿌리가 어디까지 뻗어갈지 상상하며 다정히 나무를 어루만지고, 나무 위에서 자신을 내려다보고 있는 수많은 새들과 하나하나 눈을 맞춘다. 그렇게 도달한 산책길의 절정. 아이와 공명해온 자연의 수많은 생명들이 서로서로 손을 맞잡은 클라이맥스. 해방감과 소속감 모두를 동시에 느끼는 희열의 순간. 나는, 아, 아, 감탄의 음절만을 한참 동안 내뱉었다. 


산책길의 마지막, 해님이 웃는다. 자연의 온 친구들과 하나가 된 아이의 모습을 내려다보며, 자신 아래 연결된 모든 존재들을 자신의 밝고 따스한 빛으로 안아주었다. 그 빛 속에 내 얼굴을 파묻고 간절히 빌었다. 아이와 아이 곁에 있는 모든 생명들에게 살아가는 내내 해님의 미소와 포옹이 함께 하기를. 아이와 아이 곁에 있는 모든 생명들이 살아가는 내내 해님의 미소와 포옹을 잊지 않기를. 더불어 그 생명 안에 나 또한 포함되기를. 그리하여 언제 어디서고 함께 뛰놀 수 있다는 기쁨과 위로가 살아가는 내내 나와 함께 하기를.



7월 20일 저녁에 있었던 저자 온라인 북토크는 이번 작품과 작가님에 대한 이해가 한층 더 깊어진 시간이기도 했다. 한 장의 그림마다 네 겹으로 쌓인 정성의 깊이, 한 권의 그림책에 들인 기나긴 시간의 길이, 한 생명 한 생명 모두가 연결되어 있는 세상의 너비. 이 모두를 가늠하고 감지할 수 있었던 진심의 시간이었다. 단 한 번도 쉽게 완성한 적 없는 그림, 숱한 실패와 반복되는 지난한 과정 끝에 완성된 작품이 참으로 귀하고 아름답다. 이 귀한 아름다움을 내 두 손으로 직접 감각할 수 있게 되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애쓴 수많은 분들의 노고에 고마운 마음을 표하고 싶다. (사계절 출판사 블로그에 올라온 『해님이 웃었어』 제작 과정 글은 그림책’만’의 물성을 위해 애쓰는 모든 분들의 정성과 노력에 대해 생각해 본 계기가 되기도 했다.)


한편 속표지, 내지, 그리고 마지막 장의 작가・역자 소개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무당벌레의 몸짓이 어떻게 변해가는지 살펴보는 것은 이 작품을 통해 맛볼 수 있는 즐거움 중 하나이다. 일본에서 ‘태양을 향해 날아가는 벌레’를 의미한다는 무당벌레가 이 책에서 무엇을 말하고 무엇과 연결되는지를 독자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조언해주신 작가님. 언어의 장벽을 넘어, 국적의 경계를 넘어 이어지고 전달된 작가님의 친절한 마음에 어찌 감동하지 않을 수 있을까. 작품의 계기와 모델, 각종 모티브가 되어준 아드님과 함께 언제나 다정하고도 활력 넘치는 일상을 보내시기를. 무엇보다 ‘연결’의 위로와 힘으로 말미암아 묵묵히 나아가시기를. 통하지 않는 언어의 경계를 넘어 통하길 바라는 마음을 이렇게나마 적어본다.



-

( 글은 사계절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