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계자들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을 계획하는 설계자가 있다.
설계를 실천하는 암살자가 있다.
햇빛을 삼켜 버린 거무룩한 하늘을 바라보니, 냉랭한 에어컨 바람이 마음 구석구석을 몰아치고 간 듯 건조하고 차갑게 얼어버렸다.
가만히 서 있어도 땀이 콧등 언저리까지 베어나오는 이 날씨에 말이다.
차가운 에어컨 바람이 쓸고 간 후, 공허해진 마음을 채워 줄 김언수 선생님의 신작이 나왔다.
표지부터가 왜이리 쓸쓸하고 눈물겨울까.
표지에 비춰진 '래생'일 것 같은 '그 남자'의 뒷 모습이 아련하다.
아무래도, 전작인「캐비닛」에서 느꼈던 재기발랄함과 독특함, 그리고 유쾌함은 잠시 잊어버리고 새로운 마음으로 다가가야 할 소설이기에 더욱 그렇지 않을까...
『설계자들』은 세상을 원하는대로 설계하는 설계자들과 설계에 따라 움직이는 자객들이 등장하는'거대한 암살조직'의 이야기다.
지식과 교육의 공간인 도서관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냉혹함과 잔인함이 드리워진 삶의 밑바닥인
'살인'의 설계가 시작된다. 수녀원 쓰레기 통에 버려진 아이는 도서관 관장 너구리 영감에게 입양되어 '래생'으로의 삶을 살아간다. 수십년간 푸주의 실 권력자인 너구리 영감은 설계자들의 설계를 받아, 자객들에게 임무를 주는 역할을 맡아왔다. 그러면서 래생은 자연스레 17살 자객이 된다.
이유도 모른 채, 아무런 감정 없이 '자객'들은 설계자들의 구미에 맞게 설계를 도와준다.
그것이 ‘자살’로 위장하든,‘사고’로 위장하든 ‘살인’을 해서 흔적도 없이 보내버리든_
단지 그들은 '살인'을 할 뿐이다.
이야기의 흐름은 한자라는 거물급 세력이 등장하면서, 박진감이 더해진다.
한자는 오랫동안 암살조직의 푸주였던 도서관을 위협하면서, 위험해진 주인공 '래생'의 과거가
한 겹 씩 벗겨진다.
그리고 ‘미토’라는 인물이 등장하면서 이야기는 '절정'을 다다르게 되고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설계자들의 이익을 위해 누군가를 죽이는 행위를, 더러운 푸주의 모든 것을 뿌리 뽑고자 그녀가 등장한다.
점점 마지막을 향해 갈수록 '액션 느와르' 장르를 방불케 할 영화같은 장면들이 나온다.
읽으면 읽을수록 <설계자들 홀릭>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나를 붙들어 놓은 소설이었다.
다음 내용이 끊임없이 궁금해지는 이유는, '진실'이라고 믿는 '사실'이 모두 계획 된 '거짓'에서 출발하니 독자들의 구미를 당기게 할 만하다.
얼굴없는 누군가가 의자에 앉아, 어떤 식으로 세상을 설계를 할 것 인가.
궁리하는 설계자들에 의해 움직여 진다는 것을…이미 짜여진 시나리오라는 것을…안 이상,
우리들은 쉽게 이 소설을 버리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