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로봇이 낳아드립니다 - 교유서가 소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정은영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서 임산부 로봇이 낳아드린다고 하는 것은 바로 아기다. 아무리 과학 기술이 발달한다고 해서 출산을 대신 해줄 임산부 로봇이 등장할 수 있을까? 임신과 출산을 로봇이 대신해준다니 꿈만 같은 이야기이다. 사실 나도 출산예정일이 다가올수록 출산에 대한 두려움에 누군가 대신 낳아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이렇게 임산부 로봇의 이야기를 보고는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막상 책을 읽고 나니 꼭 좋은 점만 있는게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인구관리국의 장애아 출산 제로라는 목표 아래 임산부 로봇들은 철저한 관리와 통제 아래에 있다. 태아에게 이상 증후가 발견되면 임산부 로봇들은 태아보호센터에 이송되어, 기억이 지워지고, 자신의 안에서 자라고 있던 생명체 또한 강제로 지워진다. 오직 인간만을 위해 사용되는 이기적인 기술 발달은 로봇을 도구로만 사용하고 있었다.


 하지만 임산부 로봇 헐스는 저항하며, 그동안 자신이 키워온 행복이를 보호하기 위해 애쓴다. 장애가 있을 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아이의 생명을 박탈하는 것은 인간적이지 못한 행위이지만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현실 또한 쉽지 않음을 우리는 알고 있기에 쉽게 선택할 수 없는 문제로 다가온다. 그래서 국가가 개입하여, 장애아 출산 제로라는 목표로 임산부 로봇을 통해 관리한다고 하지만 과연 이게 옳은 일인가 하는 생각이 뒤따른다.


임산부 로봇 이야기 이외에도 발달한 기술의 끔찍한 이면을 또 다른 이야기가 등장한다. 발달한 기술의 수혜자가 된다면 좋겠지만 권력자가 아닌 일반 소시민들은 피해를 볼 수도 있는 아주 끔찍한 이야기가 되겠다. 소년과 소년이라는 이야기가 너무 충격이었던게, 공부 잘하고, 말 잘 듣는 아들이 아니라는 이유로 아들이 사고를 쳐서 다쳐 올때마다 착하고 공부잘하는 아이의 뇌를 이식하는 병원장은 자신의 아들을 위해 다른 사람의 목숨을 쉽게 생각한다. 이는 기술이 발달하면 발달할수록 이기적인 사람의 면모가 드러날 수 밖에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을 읽으며, 소름이 돋은 이유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언젠가 진짜 우리들이 겪게 될 현실이라고 느껴졌기 때문이다. 기술이 발달하수록 인간에 대한 진짜 마음이 없다면 결국 우리는 로봇보다 못한 존재가 될 것 임에 틀림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