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는 마치 이 마지막 순간에 그가 인간의 사악함 속에서 이루어진 이 오랜 과정이 우리에게 가르쳐 준 교훈을 요약하고 있는 듯했다. 두려운 교훈, 즉 말과 사고를 허용하지 않는 악의 평범성(banality of evil).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에 대해서는 대부분 한 번씩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에서 한나 아렌트는 악의 평범성에 대한 이론을 설명하기보다는 유대인을 학살한 나치 전범인 아돌프 아이히만의 생애를 따라가며 역사적 격변 앞에서 그가 어떤 태도를 취했는지, 아돌프 아이히만은 어떤 사람인가를 풀어낸다.

전범, 살인자 등의 단어를 들으면 어떤 악마적 인물을 떠올리기가 쉽지만 언론이 밝힌 그들의 실상은 우리네 평범한 이웃인 경우가 많다. 아이히만도 똑같았다. 좋지 않은 성적과 가정 형편으로 학교를 중퇴한 그는 실업을 걱정하는 평범한 노동자였고, 먹고 살기 위해 큰 고민 없이 나치당에 가입하게 된다. 문제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고민이 없었다는 것’. 이러한 사유의 부재를 한나 아렌트는 순전한 무사유라고 표현한다. 나치당에서 일하게 된 아이히만은 조직의 최종해결책을 이루기 위해 상사의 명령을 따르며 성실히 일한다. 최종 해결책은 유대인 학살을 뜻했지만, 그에게는 그저 일,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성과일 뿐이었다. 나치당은 절대 학살이라는 표현을 그대로 쓰지 않았다고 한다. 학살은 최종 해결책’, ‘재정착등의 단어로 대체하여 사용되었는데, 이는 일을 수행하는 인력들의 죄책감을 덜어주었다. 또한 학살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끔찍한 일을 맡아서 수행하다니, 가엾은 나.’라며 자기 자신을 연민함으로써 죄책감에서 벗어나기도 했다. 이러한 모습은 죄책감을 회피하려는 인간의 자기합리화가 얼마나 구역질나는지 보여준다. 아이히만도 사람인지라 유대인 억압정책이 학살로 이어지기 시작했을 때 강한 죄책감을 느끼기도 했지만 성과가 명예로 이어지자 그 죄책감은 1년 만에 씻은 듯 사라졌다. 아이히만은 자신의 행위가 타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본질적으로 그 행위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깊이 사유하지 않았다. 그러한 사유의 능력이 결여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개인의 무사유가 모여 한 민족에 대한 홀로코스트라는 끔찍한 결과로 이어졌고, 아이히만은 결국 예루살렘에서 교수형에 처한다.

이쯤 되면 평범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성을 느낀다. 평범하다는 것은 무엇인가. 평범과 악의 연관성을 느끼기 어려울 수 있지만, 아이히만과 나치의 모습이 보여주듯 평범한 사람들의 무사유가 모이면 참혹한 악이 된다. 예를 들어 현대 사회에 깊게, 그리고 넓게 존재하는 차별. 혹은 기후변화 등은 어떠한 악독한 한 민족, 국가가 만들어낸 현상이 아닌 평범한 우리 개인들의 무사유가 모여 만들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쉽게 책임을 회피한다. 어떠한 차별적인 사건을 접했을 때, 혹은 기후변화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때, 그에 대한 책임이 가장 커 보이는 다른 사람을 찾아 비난하고 스스로의 책임을 회피함으로써 마음에 안정을 찾는다.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려는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나는 책임이 없으니까.’ 한나 아렌트가 이 책을 통해서 말하고자 한 바는 무엇일까. ‘생각하자는 것이 아닐까. 얼핏 보기에 평화롭게만 보이는 자유주의, 중도, 무지, 무관심 등의 태도는 어떠한 문제에 있어서는 결국 악에 동조하는 것과 똑같은 결과를 낳는다.

끊임없이 마주해야 한다. 분명히 그 과정이 고통스러울지라도. 나의 사유가 결여된 사소한 행동 하나가 어떠한 결과를 낳는지,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느껴야 한다. 그러면 아마 현대인들의 삶은 매순간이 지옥일 것이다. 부정하고 싶지만 부정할 수 없게도 인간이란 이성적인척하지만 지구상에서 가장 잔혹한 종족이고, 존재자체가 지구의 다른 생명들에게 민폐인 욕심쟁이들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말하지만 나또한 사람이기 때문에 마주보기외면하기사이에서 매순간 갈등한다. 자주 책을 통해 참혹한 현실을 마주하지만, 계속 마주하고만 있으면 너무 고통스럽기에 어떤 순간에는 고개를 돌려 현실을 외면한다. 사유하지 않고 그저 화면 속 즐거운 영상들만 보고 있으면 평화롭고 행복하기 때문이다. 그런 순간이면 문득 내 자신이 너무 비겁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신경 끄기의 기술이라는 책에 당신이 선택한 고통이 당신을 만든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인간이 고통 속에서만 살아가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겠지만 고통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삶, 그것은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하나의 지구를 공유하고 살아가는 존재들은 누구나 자신 몫의 고통을 지닌다. 내가 사유하지 않고 고통을 외면하는 순간, 누군가는 내 몫의 고통을 대신 지고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