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스는 어머니에게 맞서는 일이 어머니를 쓰레기 취급하는 것과같다고 생각하는 게 분명하다. 타인의 욕구를 우선시하며 자란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갖는 것은 이기적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한다. 저서 《감정이 서툰 어른들 때문에 아팠던 당신을 위한 책》에서 심리학자 린지 C깁슨 Lindsay C. Gibson 은 부모로부터 충분한 보살핌과 관심을 받지 못한 자녀들은 균형이 깨진 관계만이 그들이 가질 자격이 되는 유일한 종류의관계라고 배우게 된다고 말한다. 깁슨은 이렇게 설명한다.
"정서적 외로움은 매우 고통스럽기 때문에 그것을 경험한 아이는 어떤 종류이든 교감을 이루기 위해 무슨 짓이든 합니다. 이런 아이는 관계에 들어가는 대가로 타인의 욕구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배울 수 있습니다."깁슨의 연구는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주로 다루지만, 그는 이것이 연인과 친구의 관계에서도 나타난다고 지적한다. 사랑받는 유일한 방법이다른 누군가의 비위를 맞추는 것이라고 믿으면, 항상 받는 것 이상을 주고 진정한 존재감을 느낄 수 없다.
- P256
, 그레이스의 경우에는 가는 건 있지만오는 건 없다. 자신은 강박적으로 베풀면서도, 그와 같은 지지를 타인에게 요청하는 법을 모른다. 그레이스는 내게 너무 외롭다고 말한다. 깁슨이쓴대로 "가장 깊은 욕구를 숨기면 타인과 진정한 교감을 할 수 없다".
인간은 상호 의존적이다. 잘 살기 위해 사회적 교류와 공동체가 필요하지만, 많은 사람이 타인을 실망시킬까 봐 두려운 나머지 자신의 가치를 훼손하고 그 과정에서 건강과 행복을 포기한다. 게으름이라는 거짓은 우리의 가치가 타인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의해 정해진다고가르침으로써 이 고통스러운 자기 지우기를 조장한다.
타인과 진정성 있고 안전한 관계를 형성하려면 타인을 실망시키는데 편안해져야 한다. 고통스러울 정도로 많은 업무량과 다른 책임을 줄이는 법을 배워야 하는 것처럼 관계에서도 싫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정서적 무리는 일터에서 과로하는 것만큼 삶을 피폐하게 한다. 이 두 문제에 대한 해법은 우리의 진정한 욕구를 받아들이고 싶다고 말하는 게 우리를 게으르게 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을 그만하는 것이다. - P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