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르다는 착각 - 우리는 왜 게으름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가
데번 프라이스 지음, 이현 옮김 / 웨일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문신 때문에 어머니에게 잔소리를 많이 들었어요. 어머니는
‘surrender(포기)‘는 매우 나약한 말이라고 했죠"
하지만 문신은 줄리가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없다는 새로운 깨달음을얻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온종일 일을 하고, 아이를 키우고, 새롭게 시작한 남편과의 관계를 잘 유지하면서 웰빙과 건강까지 챙길 수 없다. 잘살길 바란다면 줄리는 무언가를 포기해야만 한다. 그는 포기한 모든 기회나 거부한 모든 책임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법을 배웠다.
사실 이것은 받아들이기 무척 어려운 교훈이다. 게으름을 죄악과 동일시하는 세상에서, 무언가를 거부하는 일은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 문화는 무언가를 그만두는 사람들을 경시한다. 그들의 훌륭한 판단과 자기 존중을 장려하기보다 의지가 약하거나 정직하지 못하다고 여긴다. 누군가 수십 가지의 책임을 떠맡을 때 우리는 ‘슈퍼우먼‘, ‘슈퍼맨‘이라며 칭찬하지만, 그가 그 모든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결심하거나 끊임없이 모든 것을 해내야 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면 어떤 - P71

하지만 이 모든 게 완전히 틀렸다면 어떠한가? 자신의 한계와 욕구에대해 허심탄회하게 인정하는 것은 나약함이 아니라 강인함의 신호다.
의무를 줄이는 것은 타인에게 상처를 주거나 실망시키는 게 아니다. 드러내놓고 당당하게 "싫어. 난 그 일을 하고 싶지 않아"라고 말하면 다른 사람들도 그들의 삶에서 그렇게 할 수 있는 여지를 줄 수 있다 - P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