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스스로가 아닌, 부모가 원해서 하는 일들을 통해서는 이런 감정을 느끼기가 어렵다. 경쟁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교 공부가배움과 학문의 즐거움이 되기 위해서는, 공부가 집안일과 같은 일상적인일들보다 더 우선순위가 되어서는 안 된다.
많은 사람들이 반려동물에 애정을 쏟는다. 그토록 의존적인 존재가 필요한 것은 인간들이 공통적으로 남에 대한 자신의 쓸모를 확인하고 싶은욕구 때문인지도 모른다. 나에 대한 평가가 아니라, 나라는 존재 자체가전면적으로 타인의 쓸모가 되는 기분 말이다. 이런 느낌이 아이들에게 꼭필요하다고 판단한 이유는 자기가 진짜 원하는 것들을 스스로 알아내기위해서다.
특별한 재능을 가진 소수의 사람이 아니라면 십대, 이십 대에 자기가하고 싶은 일, 자기가 원하는 삶의 구체적인 모습을 터득하기 쉽지 않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 남들에게 자신이 있는 그대로 필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많이 가지는 것이다. 단지 수입이 좋고, 직업 안정성이 높은 - P207
그런 기준을 벗어나, 타인에게 쓸모 있는 일 말이다.
하고 싶은 일만 한다고 해서 자기 이익만 챙기고 남에게 피해를 주는삶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 진짜 하고 싶은 것, 자신의 삶을 통해서 이루고 싶은 것은 남들에게 자신만의 가치로 쓸모가 되고 인정받는다는 것을 아이를 키우면서 깨닫는다. 그 방법은 당연히 사람마다 다 다를 수밖에 없고, 또 그래야만 한다. 나만의 가치란 고유한 것이니까. - P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