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자본주의자 - 자본주의의 변두리에서 발견한 단순하고 완전한 삶
박혜윤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의 성공과 완벽에 대한 기준을 버리는 것이다. 인생은 그저 사는 것이지 ‘잘‘ 살아야하는 숙제가 아니다. 아무도 ‘잘‘ 살 수가 없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야말로 영원히 연장자와 젊은이의 관계다.
부모이기 때문에 뭐 하나라도 가르쳐야 할 것 같고, 내가 했던어리석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게 해주고 싶고, 혹은 나의 성공을 복제하게 해주고 싶다. 하지만 소로를 곱씹으며 알았다. 내가30여년 더 먼저 살았던 것은 아이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식을 가르치지 않고 어떻게 키울 수가 있을까? 그해답 역시 소로의 같은 구절에서 찾았다. 젊음에게 배우는 것이다. 젊은이가 무슨 가르침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젊음 자체가 가진무수한 가능성 앞에 나 자신을 활짝 열어놓으라는 뜻이다. - P107

인생은 "각각 개인적인 이유로 비참한 실패"라고 좋은 대학교에진학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일을 하는 것은 한때 내가 걸었던길이었지만, 소로의 말처럼 ‘개인적인 이유‘로 판단해보면 삶의
‘비참한 실패‘에 가깝다. 여기서 말하는 실패는 잘잘못이 아니다. 나의 선택을 후회하고 부정하는 것도 아니다. 사회적인 기준으로 성공을 거둔 사람조차 가지 않은 길에 대한 회한과 타협이있을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사는 건 산수가 아니라서 우리는 오늘 보낸 시간의 결과를 알수 없다. 주말을 내던지고 일에 골몰한 것이 성공적인 커리어로이어질지 고독한 삶으로 이어질지 혹은 둘 다일지 아무도 모른다. 나 자신만이 그 순간들에 내가 내린 선택을 안다. 그래서 소로는 ‘개인적인 이유에 따른 비참한 실패‘라고 말했다. - P1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