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 - 플라톤부터 BTS까지, 음악 이면에 담긴 철학 세계 서가명강 시리즈 19
오희숙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악의 선율은 때론 인간인 우리에게 천상의 소리처럼 다가올 때가 있다. 우리는 음악을 통해 위로받고 음악으로 인해 행복감을 넘어 희열을 느끼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음악은 어떠한 속성 때문에 때론 인간인 우리가 가진 어떤 성정과 맞닿아서 힘을 발휘하는 걸까?

서가 명강 시리즈 열 아홉번 째 책인 [ 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 ]는 음악학과 미학이 만나 이루어진 음악미학이라는 학문적 관점에서 ' 음악적 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음악이란 무엇일까?' '음악 작품의 예술적 가치는 어떤 근거로 평가할 수 있는가' 라는 근원적인 부분과 철학적 가치를 찾아가는 책이다.

그 동안 서가 명강을 통해 여러 분야의 책을 찾아 읽었는 데 음악을 다룬 주제에도 흥미를 느껴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쓴 저자 오 희숙 교수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작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사실 음악 ( 고전음악으로 분류되는 )에 대한 조예가 깊은 편이 아니라서 클래식에 대한 이론을 다룬 책들은 충분히 이해하며 읽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이 책은 음악에 대한 인문학적, 철학적 사유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어 음악에 대한 또 다른 지식을 경험할 수 있다. 저자는 음악을 통해 경험하는 감정적 미학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 부터 시작되었다고 쓰고 있다


음악은 " 자연이 스스로 창조한 열정의 표시로서, 거기서 자신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음악은 " 우리의 감정을 동요시키는 굉장한 능력"이 있다 왜냐하면 " 귀가 좋아하는 것은 마음도 좋아하기 때문" 이다

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 중에서


" 귀가 좋아하는 것은 마음도 좋아한다 " 음악을 정의내림에 있어 가장 마음에 와 닿는 문장이다. 문학이나 철학, 회화등 음악에 스토리를 담고 있는 표제음악보다는 개인적으로 음악을 통해 감정적 카타르시스를 경험할 수 있는 감정미학쪽에 공감이 갔다. 특히 이 책이 많은 내용을 담고 있지만 특히 천재미학을 다룬 음악사에 내노라하는 두 천재 ( 모짜르트 와 베토벤 ) 에 대한 내용은 흥미로웠다.


천재란 어떠한 규칙도 부여될 수 없는 것을 산출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독창성이 천재의 첫 번째 특징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 ( 판단력 비판 )

음악이 멈춘 순간 진짜 음악이 시작된다 중에서


천재를 논함에 있어 뻬 놓을 수 없는 독창성, 특히 우리가 영화 [ 아마데우스 ]를 통해 경험한 천재의 전형 모짜르트와 베토벤에 대한 이야기는 익숙하다. 저자는 두 사람은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며 그것은 '영감'과 '타고난 재능'이라는 특징으로 대비해 볼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천재의 유형도 변화되어 가고 현대의 천재상에 대한 새로운 부각은 천재란 단순히 타고난 재능에 의한 탄생이 아닌 복잡한 사회변화만큼이나 여러 각도에서 평가되며 그러한 현대의 천재론에 대해 여러 저서와 영화 작품을 통해 찾아나간다.

음악에 남다른 조예를 보였던 두 철학자 쇼펜하우어와 니체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미술이나 문학의 영역으로만 알고 있던 음악적 리얼리즘에 대한 내용은 음악적 사유의 깊이를 더해준다. 이 책은 음악미학이라는 주제를 통해 철학과 사회학적 담론들을 통해 사유하는 음악, 철학하는 음악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보여주는 책이다. 쉽지 않은 내용이지만 꼼꼼히 정독한다면 음악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넓힐 수 있는 유익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