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끼고 아는 존재 -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안토니오 다마지오 지음, 고현석 옮김, 박문호 감수 / 흐름출판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정서 느낌 의식의 메커니즘을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유기체적 이론으로 다루는 책이다. 그 동안 의식과 정서 느낌이라는 개념을 심리학적 혹은 심상학적 관점으로 막연하게 접해오다가 중추신경계를 통한 생물학적 접근으로 해석한 책을 읽으려니 이해하기가 쉽진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유물론 입장에서 해석하고 있는 저자의 고견은 인간의 의식과 정서 느낌이라는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각도를 제시하는 계기가 되어 유익한 독서였다.

이 책을 쓴 저자 안토니오 다마지오는 신경과학, 심리학, 철학 등을 망라한 학식이며 뇌과학에서도 탁월한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학자다. 저자는 특히 느낌이나 감정 의식과 같은 미지의 영역을 뇌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연구하여 학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연구자다. 저자는 서문에서 복잡한 이론들을 배제하고 핵심적인 이론을 정리한 소위 대중서를 써보라는 권유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밝히고 있다. 저자의 독자를 위한 배려(?)에도 불구하고 솔직히 정서, 느낌 의식으로 나아가는 이론들은 쉽게 읽혀지지 않는다. 특히 저자가 이론을 펼쳐나가는 데 있어 기본이 되는 용어 이해가 중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첫장에 실어놓은 용어 설명에 대한 부분을 반드시 읽고 넘어가길 권한다. 이 장을 뛰어넘어 본문부터 읽기 시작한다면 여러 번 앞 페이지로 돌아가야하는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다.

- 다마지오가 정의한 용어에 대한 해석 -

정서 - 뇌 안의 뉴런들을 활성화하는 모든 외부 자극과 내부 자극에 대한 무의식적인 반응, 심리학이 아닌 뇌과학적 관점 특히 다마지오의 관점에서 정서는 느낌에 따른 부속적인 그 무엇이 아니라 철저히 별개의 것이며 굳이 순서를 정한다면 정서가 나타나고 뒤 이어 느낌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느낌 - 태초에 있었던 것이 말이 아니라 느낌이라고 주장하는 저자는 인간을 포함 단세포 동물마저도 수입억 년을 거쳐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은 느낌 덕분이라고 강조한다.

느낌은 우리가 느낌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하고 현재 상황에 가장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욕구와 동기를 제공한다. 서둘러 어떤 것을 피해 숨는다거나 보고 싶었던 사람을 껴안는 행동은 모두 느낌에 의한 것이다

느끼고 아는 존재 중에서


자연은 우리에게 느낌이라는 화재 경보기, 소방차, 의료시설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느끼고 아는 존재 중에서


의식의 출현의 배경이 되는 정서, 느낌, 느낌에 대한 느낌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사실 의식만큼 인간의 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현상은 드물다고 생각한다. 많은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되고 있는 의식은 개별성을 가질 수 있게 만드는 중요한 기제다. 저자는 본문에서 시시포스가 산 위로 끊임없이 바위를 올려야 하는 형벌의 고통을 아는 이유가 ' 자신이 받고 있는 끔직한 형벌이 자신이 받는 형벌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 ' 즉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의식은 인간의 문명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의식을 범접할 수 없는 미지의 영역이라고 생각하는 건 오류라고 강조한다.

이 책은 인류의 발전과 과학의 진보의 저변에는 정서와 느낌과 의식이라는 메커니즘의 도움을 통한 성과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만이 독보적으로 발전해 온 성과만을 치하하는 데서 오는 오류는 기후변화와 전염병과도 같은 새로운 문제를 야기했으며 이 책의 이론들은 생물학적 관점에서 하나의 유기체로서 인간을 바라볼때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인식을 가질 수 있다고 말한다. 인간만이 독보적인 존재가 아닌 지구에 공생하는 생물들은 모두 같은 메커니즘을 가졌다는 시각말이다. 하지만 그런 각도를 갖기위해선 좀 더 쉽고 접근성이 쉬운 대중적인 저서들이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