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빌리의 비참
알베르 카뮈 지음, 김진오.서정완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베르 카뮈에 대한 관심이 생겼던 건 그의 대표적 소설 [ 이방인 ] 이후 [ 최초의 인간 ]을 읽으면서였다. 교통사고 사망한 그의 소지품에 들어 있던 미완의 완고이자 자전적 이야기였던 [ 최초의 인간 ] 에는 카뮈가 태어나서 어린시절을 보낸 알제리의 아름다운 풍광과 가난했던 집의 구조까지 생생하게 묘사되어있다.

프랑스인이었지만 언제나 가슴 속에 알제리를 품고 살았던 카뮈에게 그 곳은 쉽게 놓여지지 않는 선연한 상흔같은 고향이자 작가의 표피같은 곳이었다. 그래서일까? 이 책 [ 카빌리의 비참] 에는 식민지 알제리의 현실 고발과 더불어 알제리의 대한 카뮈의 연민과 애정을 엿볼 수 있다.


카뮈는 알제리를 통해 먼저 이해되어야 하는 인물이다. 그는 파리 생활을 힘겨워했고 그럴 때마다 고향인 알제리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이 점만 봐도 그가 얼마나 꾸준히 알제리를 생각했는지 알 수 있다

카빌리의 비참 중에서 - 옮긴이의 말


사실 알제리는 프랑스 식민지 정도로만 알고 있었고 대공황이 끝난 1939년대 아프리카 북부에 위치한 알제리에 대한 정보는 전무하다. 현대에와서 카빌리가 알제리의 산업 도시로 자리매김했다는 정보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알았다. 카뮈는 자신의 글을 통해 당시의 알제리가 얼마나 비참하고 열악한 상황이었는지 생생히 고발하고 있다. 이 책은 카뮈가 프랑스 일간지 [ 알제 레퓌블리캥 ] 의 기자로 일하며 1939년 6월 5일부터 1939년 6월 15일까지 걸쳐 쓴 연속 기사 11편을 모아 번역한 책이다. 1939년의 식민지 알제리인들은 가난과 굶주림 속에서 허덕이며 제대로된 의료나 교육의 혜택도 없이 빈곤하게 살아가고 있다. 당시 26살이었던 카뮈는 기자로 근무하며 알제리 카빌리 곳곳을 취재하고 생활 전반과 제도 개선을 위한 자료와 통계를 모으고 대책 마련을 위해 고심한다. 또한 자신의 글을 통해 프랑스 정부와 프랑스 본토인들이 식민지 알제리에 관심을 모으기 위해 애쓴다.


이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이런 어조를 취한 것을 후회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보다 더 비난받을 만한 정책은 없어 보인다. 위엄이라는 개념이 참된 정당성을 가질 수 있는 때는 화려한 겉모습을 갖출 때가 아니라 넓은 배려와 우호적 이해에 근거를 둘 때다.

카빌리의 비참 중에서


학교에 대한 정책 개선을 강조하는 문장임에도 철학적이며 관조하는 소설가의 기조를 느낄 수 있는 문장이다. 이 책은 이렇듯 르포 형식의 기사를 모은 책이지만 불의의 사고로 운명을 달리한 불운한 소설가의 글 한 줄 한 줄이 아쉬운 독자라면 새로운 시각에서 쓴 카뮈의 글과 생각을 통해 신선함을 느낄 수 있는 책이었다.

개인적으로 카뮈의 빼어난 필력으로 알제리의 문장 묘사를 더 맛볼 수 없는 점이 아쉽다면 아쉬운 점이랄까?


비할 데 없이 아름다운 이 지역의 관광 정보나 웅장한 풍경을 저는 언급하지 않는 것에 대한 독자들의 양해를 구해야 하는 지 모르겠다. 중략

비참한 카빌인 거지의 고통으로 일그러진 얼굴과 고름이 가득한 눈 뒤편에 꽃으로 덮인 산과 구름 한 점 없는 하늘, 황홀한 저녁 같은 배경을 그리는 일은 각자의 상상에 맡기겠다

카빌리의 비참 중에서


이 책을 읽고 조금이나마 아쉽다면 추후 카뮈의 다른 작품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