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다는 농담 - 허지웅 에세이
허지웅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 지웅 작가는 작가보다는 sbs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라는 프로에서 그가 그의 어머니와 함께 출현할 때 몇 번 본 적이 있다. 물론 그전 tvn 방송을 통해 프로 방송인으로서의 입지를 다진 건 알고 있었지만 그 프로를 그닥 볼일이 없었던 지라~^^ . 방송은 안 봤어도 영화 평론을 하고 칼럼을 쓰고 sns에 글을 쓰는 논객인 것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말이다. 이 정도면 그에 대해 많은 부분 ( 드러난 부분 중 )을 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 듯 싶다.

미우새에 나오는 허지웅은 깔끔하고 날카롭고 차갑고 등등의 이미지에 무엇보다도 결벽증 처럼 수시로 청소를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피곤해서 어떻게 살까? 하는 시선으로 그를 바라봤는 데 얼마 전 기사를 보니 암 투병 중이란다. 참 파란 만장한 삶을 사는 구나 싶었다.

허 지웅의 전작은 '나의 친애하는 적'과 '버티는 삶에 대하여'다. 특히 '버티는 삶에 대하여'는 제목이 맘에 들어서 한번 읽어볼 요량으로 도서관에서 빌려왔지만 이런저런 바쁜일에 밀려 표지를 체 들춰보지도 못하고 반납해 버렸다.

그러다 인연이 닿은 책이 이 책 ' 살고 싶다는 농담'이다.

이 책은 그가 악성 림프종이라는 몹쓸 병에 걸려서 항암 치료를 받고 다시 건강을 회복한 이후에 쓴 에세이들이다.

글을 쓴 시기가 그러하니 글 전반 에 병에 대한 내용이 많이 들어있겠구나 싶어서 부쩍 호기심이 갔다.

역시나 책은 첫 장 부터 자신의 병으로 시작한다.


망했는 데, 세 번째 항암 치료를 하고 나흘째 되는 날 밤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손이 부어서 물건을 집을 수 없고 손발 끝에선 더 이상 감각이 느껴지지 않았다.

살고 싶다는 농담 중에서


첫 문장을 읽고 나니 이 책에 대한 호감도가 확 일었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글의 매무새랄까? 글체가 매력적이었다. 느껴지는 데로 표현하면 평범하면서도 식상하지 않은 문장에 꽂혔는 데 내용도 범상치 않았다. 뭐랄까? 글만 읽었는 데 마치 사람을 만난 느낌이랄까?

그 때부터 나는 이 책을 한 줄 한 줄 꼼꼼히 아껴서 읽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한 3~40권 읽으면 한 권 정도의 빈도로 나오는 일이다. ( 순전히 나의 개인적 감성이니 그닥 의미부여할 필요는 없다 ) 책을 거의 다 읽었을 땐 필사를 할 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런 ㅠㅠ

그는 방송에서도 빛이 났지만 반면 오해가 소지가 많은 또는 호불호가 갈리는 방송인이다. 반면에 작가로서의 그는 폼도 나고 세련됐다. 생각의 깊이가 있고 해박하며 무엇보다 문장이 멋진 사람이었다.

사람들은 그래서 그를 뇌섹남 이라고 했던가?

이 책 ' 살고 싶다는 농담'은 왜 진작 그의 책을 읽어볼 생각을 못 했을까 하는 아쉬움과 이 책이라도 읽게 돼서 다행이다 라는 두 가지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었다.

여러 좋은 글이 많지만 후 반부에 실린 '보통 사람 최 은희'는 맘을 숙연하게 한다.

고인은 나보다 오년 정도가 더 많은 분이다. 그는 자신과 같은 병을 알고 있던 분이라서 랄까? 허 지웅 작가의 애도의 맘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직접 만나보지는 못했어도 글로 보는 허 지웅 작가는 예민한 만큼 감성이 여린 사람일꺼다.

사람 만큼 글이 멋있고 글 만큼 사람도 멋있을 것 같은 작가.


나는 남을 평가하는 일을 그만두었다. 평가받는 일이 얼마나 고되고 영혼을 파괴하는 지 알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에 관해 이야기하는 일도 그만두었다. 최근 몇 년 사이 사안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독자보다 그래서 너는 누구 편이냐고 묻거나 마음대로 단정 짓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아졌다. 더 이상 삶을 소음으로 채우고 싶지 않다.

살고 싶다는 농담 중에서


병은 사람을 키우고 성숙시키는 게 맞는 것 같다.

이왕이면 아픔을 겪지 않고 성숙되면 훨씬 더 좋겠지만

짓 궃은 신은 인간에게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으니, 특히 좀 튀는 인간에겐 여지 없이 간섭을 하는 괴팍함이 있다.

하고 싶은 말은 더 있지만 신의 심기를 건드려 내게도 관심의 촉수가 날아들까 싶어 여기서 그만 할란다.

허 지웅 작가의 쾌유와 강건함을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