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 읽었었는지 모르겠지만 그때도 이 소설을 '아름답다'라는 생각을 하며 읽었을까 궁금해진다.
다시 읽는 싯다르타는 소설을 읽으며 나의 의식을 맑게 경건하게 청명하게 깊이있게 해 준 책이었다.
싯다르타의 삶의 깊이와 깨달음을 찾아가는 여정은 곧 내 삶과 맞물려 내게도 한모금의 청청수처럼 전해온다. 그 '옴'의 깊이를 나는 언제쯤 경험해 볼 수 있을까?
싯다르타는 인도의 학자이자 브라만 계급의 아들이다. 편안하고 귀족적인 삶을 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적 갈망으로 인해 그 고귀한 과업 깨달음을 찾아 어릴때 부터 절친한 친구 고빈다와 함께 집을 나선다.
사문의 길에 들어선 두 사람은 깨달은 자 고타마 붓다를 만나게 되고 그 곳에서 싯다르타와 고빈다는 헤어지게 된다. 고타마 붓다의 제자로 입문하는 고빈다와 진정한 깨달음은 스승에게서 얻어지는 것이 아닌 자신이 직접 깨달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홀로 길을 떠나는 싯다르타. 그 후 그는 도시로 들어가 카말라라는 기생을 만나 쾌락을 경험하게 되고 장사꾼인 카마스와미를 통해 세상을 배우게 된다.
오로지 사색하는것, 단식하는 것, 시를 짓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었던 그가 세상을 통해 장사하는 법, 사람들에게 권력을 휘두르는 법, 여자들과 즐기는 법을 배우며 점점 세상속으로 세상과 하나가 되어가지만 그에게는 늘 구도에 대한 갈망이 있고 자신이 스스로 타락했다는 강한 위기 의식 속에서 그는 자신의 집과 재산을 두고 다시 구도의 길을 떠난다.
그 후 싯다르타는 젊은 시절 자신을 건너주었던 뱃사공을 만나고 되고 강에게서 지혜를 배우는 바주데바를 만나 그와 함께 살게 된다. 이후 자신이 남겨준 씨를 통해 아이를 낳아 키운 카말라와 아들을 만나고 카말라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아들을 키우게 되면서 그는 아버지로서 아들에 대한 애착으로 고뇌하게 된다.
어쩌면 불행처럼 찾아온 아들, 구도의 길을 가는 데 있어 혈연이 얼마나 짐스러운 장애물이 되는지.. 하지만 자식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으며 싯다르타는 더욱 성장하게 되고 이후의 고백에서 그는 젊은시절 사문의 길을 갈때 삶에 집착하는 사람들을 보며 느꼈던 우월감을 내려놓게 된다. 강에서 배우는 지혜.. 그후 다시만난 친구 고빈다와의 대화에서 진정한 지혜는 관념이나 사상이 아닌 행위이자 삶자체라고 말하며 싯다르타는 고빈다에게 깨달음을 전수하는 걸로 이 아름다운 소설은 끝이난다.

불교에서 말하듯 윤회의 수레바퀴를 끊지 못하고 매번 태어나서 살고 있는 삶 가운데 우리가 진짜라고 생각하고 내려놓지 못하는 수많은 것들. 가족, 돈, 건강, 또 무엇이 있을까? 지식이나 학벌 지위 명예등등 결국 진짜 나를 찾아가는 길에서는 헌 신발짝처럼 벗어던져야 할 것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열하게 살아보지 못하면 집착에서 벗어날 수 없는 이 아이러니.. 깨달음의 큰 포부를 안고 자만으로 가득차서 집을 떠났던 싯다르타가 결국은 세상을 경험하고 아들을 통한 집착의 굴레를 내려 놓으면서 진정한 지혜를 깨달아 가는 여정을 그린 이 소설은 단순하게 내려놓고 벗어버리고 떠나라고 말할 수 없는 우리의 꼬부라진 삶이 들어있다.
하지만 우리 내면에 들어있는 깨달음의 가능성 그 완성된 자아를 찾아갈 때 까지 소중히 보듬어야 할 발판이 되는 것이 내 삶이라는, 그것이 싯다르타가 알려주는 삶의 지혜가 아닐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