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김 애란의 소설집 ‘바깥은 여름’을 다시 읽었다.
두 번째 읽는 데도 처음 읽는 것처럼 소설이 새롭다.
하지만 소설을 처음 읽었을 때 울컥 치밀어 오르던 눈물 지점은 동일하다.
첫 번째 단편 ‘입동’과 마지막 단편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에서 작가는 각각 아이와 남편의 죽음을 이야기 한다.
처음과 끝을 가족의 죽음으로 열고 닫는 소설집은 하나의 주제로 관통되고 있다.
죽음을 통한 아픔의 유형들,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도 살아야 하는 부모 혹은 아내, 가해자인 아들을 보듬거나 감당해야 하는 인간의 무게에 대해 작가는 그녀 특유의 문체로 담담하게 쓰고 있다.
바깥은 여름이지만 안은 냉혹한 겨울일 수밖에 없는, 차마 아픔이라고 표현하기도 사치스러운 '고통의 세기'( 강도 ) 를 말하고 싶었던 걸까?
“안에선 하얀 눈이 흩날리는데, 구 바깥은 온통 여름일 누군가의 시차를 상상했다”
내게 일어난 일이 아니어도 사회 테두리 안에서 우리는 매일 이와 같은 상황을 목도하며 살고 있다.
뉴스에 떴다가 금새 사라지는 활자 속 죽음들..
남겨진 사람들이 겪고 있을 왜곡된 시차를 감히 상상이나 하겠는가?
각자의 감수성의 높낮이로 간혹 타인의 아픔이 내 아픔이 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그것은 망각이 되고 비난이 됐다가 무감각으로 잠식되어 버리는 수순을 얼마나 많이 보아왔는가?
작가는 소설 속에서 누구도 겪을 수 있는 아픔을 꼼꼼히 복기해 내고 있다.
‘내가 아니어서 다행이다’가 아니라 당장이라도 ‘내가 될 수 있는’
인간이라면 누구에게나 보편적 명제인 ‘죽음’이 특별함으로 치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이야기들을 섬세히 직조해 냈다.
구분 짓는 사회, 공감이 말라버린 사람들에게
아픔과 고통에 대해 한 올 한 올 문장으로 펼쳐 놓고 한 번 들여다 보라고 속삭이는 소설들은
그래서일까? 단편 하나하나가 묵직함으로 다가온다.
바깥은 가볍지만 안은 무거운, 온도의 시차만큼 무게감의 차이도 큰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