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뜬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몇 년 전 <눈 먼 자들의 도시>를 보면서 이후의 이야기가 나와있다는 것을 알고 어떤 이야기일까, 책을 다 보기도 전부터 궁금했었다. 벌써 언제부터 봐야지 하다가 알라딘 중고서점에 갔을 때 1순위로 구입했다.





그러나 책의 중반부가 지나갈 때까지 <눈 먼 자들의 도시>에 대한 이야기는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내가 잘 못 알았나?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전편과 무슨 상관인가 싶은 이야기 전개 때문에 더 그렇게 느꼈던 것 같다. 상상하지 못 한 방법으로 4년 전 있었던 일과 지금의 일을 엮어내는데, 그 논리가 기상천외한 것만큼이나 정치는 참 알다가도 모를 것인가 보다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야기는 선거날 시작된다. 아침부터 비가 어마어마하게 오고, 그 덕분인지 오전 시간인 것을 감안해도 선거장은 영 썰렁하다. 그런데 투표 결과를 보니 전체표의 무려 70% 이상이 백지표였다.






정치권은, 특히 우익정당에서는 이 일을 '사건'으로 규정하고 재투표를 실시하지만, 별 득표를 하지 못 했을 뿐만 아니라 백지투표율이 오히려 상승한다. 백지투표는 불법이 아닌데, 곧 정권이 전복되기라도 하는 양 예민하게 반응한다.  동시에 이 기회에 더 많은 권력을 쥐고자 하는 이들의 치열한 머리싸움이 벌어진다.






이 사건을 '폭동'이라 규제하고, '주민들을 고립시켜 부글부글 끓게 하기 위해' 도시에 계엄령을 내리고 공권력은 도시를 빠져나간다. 그러나 치안을 책임지는 경찰도, 시민 보호의 의무를 담당하는 군인도 빠져나간 도시는 오히려 너무나 평화롭다. 정치 수뇌부들은 온갖 방법을 동원해 사람들을 갈라놓으려 하지만, 명분 없는 그들의 논리는 설득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지혜로운 대체 덕에 도대체가 멍청해 보이기까지 한다.






이 모든 이야기가 숨 돌릴 새 없이 빠르게 진행되는데, 독자에게 바로 이야기하는 것 같은 문체라 더 속도감 있고 사실적으로 느껴진다. (심지어 독자에게 직접 이야기하는 장면도 있다) 인물 간의 대화가 따옴표 없이 죽 나열되어 누가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헷갈리기도 해서 집중하고 보느라 숨이 다 찰 지경이었다.






책의 결말이 조금 힘이 빠지기도 하지만 이야기가 여기서 끝이 아닌가 보다. <이름 없는 자들의 도시>라는 책으로 이어지는 것 같은데,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끝날지 궁금하다. 나의 나라와 상황이 별반 다른 것 같지 않아 꼼꼼하게 읽었다. 얼른 사다 놓은 책 다 보고 다음 편 사러 가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