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유시민님이 작가로 돌아왔다. 나에게는 날카로운 눈빛으로 여당 의원들을 조목조목 논리있게 반박하는 의원님으로 더 익숙한 분이지만 사실 글을 쓰는 작가님이셨단다. 잘 몰랐다.


2015년 현재 이 나라를 관통하는 화제가 있다. 정치적 화제에는 어김없이 '북한' 및 '종북'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내편'이 아니면 '적'으로 간주하는 시선도 여전하다. 결국은 '자유 민주주의'를 주장하면서 '내'가 옳고 너는 '틀리다'고 상대를 인정하지 않는 양측의 행태가 싫었다.


그런데 문득 대체 "왜?" 하는 의문이 들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어쩔 수 없이 독재는 좀 했지만 우리가 이만큼 먹고 살게 해 준 반인반신'이고, 그러니까 그의 딸이 대통령 좀 해도 된다는 식의 논리가 존재하고 받아들여지는 이유가 궁금했다. 어찌됐건 나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동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이니까, 그 사람들의 생각의 실체를 알고 있는 것쯤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역사가들의 어려운 책이나 당대의 사료를 직접 볼 수준은 안되고, 행간의 의미를 읽을 수 있는 눈도 없고. 그러면 어떻게? 책을 봐야지. 그중에서도 근현대사에 관한 책. 지금의 대한민국을 사는 내게 정통으로 영향을 주는 바로 윗세대들의 시대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그런 것이 궁금했다.


일단 이 책은 재미있다. 작가님이야 워낙 말 잘하고 글 잘쓰기로 유명하지만 역사책이 이렇게 재미있을 수 있다니. 3일만에 다 읽었다. 작가님의 필력 덕분이겠지만 이 나라의 현대사가 워낙 기구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현대사를 허구의 상황에 대입해 소설을 쓴다면, 그런 일이 어떻게 있을 수 있냐고 욕먹을 것 같다. 게다가 전개는 얼마나 빠른지 그 많은 일들이 불과 몇 십년 안에 일어났다는 것을 생각하면 대단하다는 말밖에는 떠오르지 않는다. 말그대로 격동의 현대사를 지나오는 동안 이 나라가 겪은 변화를, 작가님의 말대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기술해놓았다.


수많은 참고문헌에서 발췌한 자료와 도표를 토대로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식이라 독자인 내 입장에서야 읽기만하면 되니 책보는 내내 편했다. 작가님은 힘드셨겠지만. 난 이런류의 역사책을 많이 읽어본 것이 아니라 비교는 힘들지만 한쪽에 편향되지 않고 중심을 잘 잡았다고 생각한다. 본인이 태어난 1959년부터 책이 나온 2014년까지 대한민국에 일어났던 변화와 그 변화의 배경, 의미와 명암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너무 가까운 과거에 일어났던 일이라 오히려 알지 못했던 낯선 사건들을 알 수 있어 신선하고 재미있었다.


하긴 나는 그런 험한 일들을 겪어낸 당사자가 아니니 재미있다고 얘기할 수 있는거겠지.  책을 읽으면서 가장 놀랐던 점은 당시 젊은이들은 정말 '젊은이'다웠던 것 같다는 거다. 어린 학생들이 주도했던 그 많은 민주화 운동들. 내가 10년정도 일찍 태어났더라면 나는 그럴 수 있었을까? 잘 모르겠다. 그때가 지금보다 더 살기 좋았던 것 같지도 않은데 '취업걱정'과 '직장에서 짤리지 않고 삻아남기'가 가장 고민인 2015년 현재의 젊은세대의 일부인 나로서는 그 당시 젊은이의 기개가 부럽다.


검색해보니 유시민님은 '정당인, 전 국회의원'이라고 나온다. 난 정치는 잘 모르지만 문외한인 내가 보기에 tv 토론회나 뉴스 같은데서 볼 때보다 지금이 더 편해보인다. 아닌가? 아니면 당연한건가? 

어쨌든 난 재미있는 책이 좋다. 유시민님의 책은 재미있었다. 그럼? 다른책도 읽어봐야지. 아..세상엔 읽고 싶은 책이 너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