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진 1. 보온 -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오리진 시리즈 1
윤태호 지음, 이정모 교양 글, 김진화 교양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미생의 작가 "윤태호"의 신작이라는 점에서부터 막막 끌렸다. 만화 미생은 6권까지 밖에 보지 못했지만 바둑을 통해 세상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청년의 이야기가 재미있었다. 청년실업에 놓은 지금의 세태를 이야기하면서도 어느 한쪽의 탓으로 몰아가지 않으면서도 균형잡힌 이야기를 해낸다. 약간의 성공스토리를 담고있지만 성공만 하지 않는다는 것도 좋았다.  그런 윤태호가 그리는 교양만화라고 하니 끌릴 수 밖에.

  오리진 세상 모든 것의 기원 001 보온....

  이 책의 표지에 쓰여진 제목 전체 이다. 오리진은 교양만화를 표방한다. 우리나라 교양만화는 보통 딱 한 가지 형태를 띈다. 약간의 만화전개와 관련 글이 쓰여진 설명글이 번갈아 나오는 폼으로 정착되어있다. 가장 유명한 학습만화 와이도 그렇고, 이현세의 한국사 바로알기도. 아주 예전에 인기를 끌었던 살아남기 시리즈도 이 포멧에서 벗어나지 않았던 걸로 기억한다.

  그런데...오리진은 다르다. 보온에 대한 설명이 적힌 글이 중간에 보이지 않는다. 맨 끝에 약간의 부록처럼 10여페이지에 지구 탄생에서부터 지금까지 온도가 미친 영향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을 뿐. 학습, 교양을 중요하게 여긴 편집자들에게는 고민이었을테다. 끝에 붙여놓으면 안 읽을텐데....하는 우려를 하지 않을수 없었을테니...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감한 시도를 한 편집자와 윤태호작가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만화 안에서 그 내용을 담고자 했으니 글을 쓰는 입장에서 굉장히 부담스러웠을테다. 너무 가벼워서도 너무 무거워서도 안되는 교양만화의 틀을 잡아야했으테니...특히나 그 내용에 대해 꿰뚫고 있지 않다면 그와 관련된 만화를 끌어간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힘든 일이니 말이다. 

  처음엔 그저 교양만화라고 하니, 윤태호가 썼다고 하니, 기대가 된다는 수준이었다. 아이와 함께 읽을 수 있는 괜찮은 만화가 하나 나왔구나하는 막연한 기대...그러나 책을 펴보니 기대 이상이었다. 미래로봇 봉투가 주인공에게 오는 과정에서부터 글의 퀄리티가 드러났다. 

  미래 세상은 과학이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서 우리가 먹고 싶은 온갖 맛을 내고 배고프지 않는 약이 개발되고 세상 모든 질병을 낫게할 정도로 의료기술이 발전했고, 내가 일을 하지 않아도 나를 대신해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로봇이 개발되었다. 힘들 것이 하나도 없을 그 세상에서 인간은 삶에 대한 의지를 놓는다. 무엇을 해도 즐겁지 않고 무엇을 해도 행복하지 않아서 죽음이라는 순간을 맞으면 감정을 흔들어놓는 그 무언가를 발견할지도 모른다고 자살을 택하는 사람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그에 대한 원인을 밝히고 대안을 찾고자 과학자는 21세기 초로 자신이 개발한 로봇 봉투를 보낸다. 봉투가 느끼고 받아들인 지식을 실시간으로 미래를 쏘아보낼 수 있는 장치를 단 채로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것으로 선택받은 보온....우리 몸은 36.5도라는 적정온도를 유지해야 몸이 원활하게 돌아간다. 세균이나 질병이 침투하면 몸의 체온을 높여 이에 대항하고 이를 이겨내려한다. 일종의 이상신호이다. 몸이 이상하니 관리모드로 들어가라는....몸의 균형이 다시 이뤄지면 몸은 정상온도로 돌아간다. 아픔으로 흐트러졌던 집안도 관계로 원활하게 그 궤도를 찾고

  전체적으로 보온의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의 과정은 단순하다. 그치만 그안에 관계와 신뢰에 대한 따스한 시선이 있고 과하지 포장하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녹아 있어 읽으며 흐뭇했다. 받자마자 읽었는데 바로 서평을 쓰지 않아 기억이 흐려졌지만 책을 덮은 순간에 앞으로 읽게될 이후 이야기가 기대되었던 것만은 또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