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트 래빗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은모 옮김 / 현대문학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역시 이사카 코타로다. 그의 글은 참 특이하다. 문장이 정말 특별한 것이 없는데 아니 뭔가 어눌하고 초반 집중이 잘 안되서 이번에는 아니려나 하고 있음 어느새 자세를 고쳐앉고 -뭐 그렇다고 벌떡 읽어나 읽지는 않는다. 작가는 이걸 바랐는데....그저 눈에 들어가는 반짝거림이 달라진다는 - 책에 집중하고 있는 나를 만나게 된다. 이번 <화이트래빗> 역시 그러했다.

 

  정말 초반 집중력은 별로인데 끝은 늘 만족스럽다. 화이트 래빗은 그래도 다른 책에 비해 짧아 그런지 더 빨리 집중한 것 같긴 하다. 인질농성사건으로 알려졌고 우리가 흰토끼 사건이라 부르는 일은 <명랑한 갱이 지구를 돌린다>의 은행강도 4인방을 떠올리게 했다. 이사카 고타로가 좋아하는 스타일인가? 강도같지 않은 갱들 때문에 한바탕 신나게 웃었는데 여기서도 나도 모르게 웃음이 삐져나왔다.

 

  살짝 어처구니가 없었다. 이렇게 어리숙해서 어찌 그런 일을 하겠다는 것인지...인질극을 벌이는 놈들이 왜 저러는 건지....너무나 인간적이어서 스톡홀롬 증후군도 아닌데 난 이미 인질극을 벌이는 우사키타보다는 와타카짱을 엄청 엄청 사랑하는 우사키타만 보이는 현상이 일어나고 의도치않게 흰토끼사건에 합류하게된 빈집털이범도 그러하다. 곳곳에서 캐릭터들이 나를 부른다. 저 캐릭터가 딱 내 스타일이 아닌데도 점점 집중하게 만드는 힘이라니 이게 이사카 고타로의 힘인가보다.

 

  생각해보니 이제까지 읽은 이사카 고타로의 책에서 음악 이야기가 한 번도 등장하지 않은 유일한 책인 듯 하다. 대신 그 어떤 음악보다 강렬하게 <레미제라블>을 완역본을 구해 읽어야할 것 같은 기분에 휩싸인다. 읽을 책이 쌓여있는데도 레미제라블까지 얹으려니 답답함이 밀려오지만 짤막짤막 등장하는 문장들이 읽고 싶은 욕구 폭발시킨다. 아마도 내년으로 미뤄야겠지만 의욕은 충만 그 자체

 

  오리온 별자리와 장발장에서 살짝 빚진 느낌은 있지만 오히려 그들에 대한 관심까지 불러일으켜 역주행 시도하게 하니 오히려 그들이 <화이트 래빗>에서 빚을 진 것인지도 모르겠다. 시간의 순서가 자꾸 변해서 조금 짜증날지도 모르겠으나 그것이 요 글의 매력 뽀인트 순차적이었으면 오히려 그 매력이 떨어졌을 듯

 

  인물 중 최고는 역시나 구로사와와 나쓰노메!! 캐릭터 자체의 매력은 구로와사를 넘을 수 없고, 나쓰노메의 경우 마지막 반전이 최고였다. 딸과 아빠의 대화 알수 없는 찌릿함이 있었다.

 

  "인간은 집단으로 살아가기 때문이야." 

 "규칙을 지키는 데 관해서는 민감해. 규칙은 개인에게서 자유를 빼앗아,

다만 규칙을 지킴으로써 질서와 집단이 보호되지.

 규칙을 어기고 싶어도 어기지 않도록 옛날부터 철저히 세뇌를 당했어."

"누가 세뇌했는데요."

"철새에게 이동할 시기를 가르쳐 준 녀석이겠지."

 

  책 내용 때문이 아니라 구로사와가 말하는 저 내용이 그리 공감될 수가 없다. 규칙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폭력들도 생각이 나고 내가 그간 경험한 이야기와 더불어 혹 나는 규칙이란 이름으로 누군가에게 폭력을 던전적은 없었는지 두렵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