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에 간 멍청한 경제학자 - 행동경제학으로 바라본 비합리적 선택의 비밀
고석균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들 한 번씩은

편의점에 들어가 내가 원래 사려던 음료가 아닌

1+1 또는 2+1 음료를 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인원이 딱 들어맞을 때 그 확률이

훨씬 더 높아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들 그런 상황으서 자신의 합리적인 소비에

스스로 쓰담쓰담을 하지 않는가?

나도 그렇고 너도 그렇고 우리 모두가 그렇디.

하지만 이러한 소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본 사람은 많지 않다.

고민을 하더라도

내가 마케팅 상술에 빠진건지,

정말 잘 산건지 판단할 기준도 없으니 말이다.

그런 지적 호기심 많은 사람들을 위해

이 책을 추천한다.



넛지 이론은 사실 이미 해묵은 떡밥이다.

들은 바로는 중학생들도 넛지를 배운다고 한다.

하지만 넛지 이론이 계속 책의 소재로 등장하는 이유는

일상 속에서 너무나 적용할 것이 많기 때문이다.

보라. 편의점에까지 이를 적용하지 않는가.

우리 일상에서 편의점만큼 친숙하고

자주 이용하는 리테일은 많지 않다.

그런데 우리는 이 편의점을 이용하는 데에 있어

깊은 고민을 한 적이 없다.

실제로 나도 매월 말 가겨부 어플을 들여다보며

용도를 알 수 없는 새나간 돈을 보며 한숨 짓는다.

그 중의 5할이 편의점이고

4할이 카카오페이다.

물론 그 금액은 5천원을 넘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다.

단순 하루에 5천원만 잡아도

한 달이면 15만원인데

책 한권을 통해 이렇게 새어나가는 돈을 잡을 수 있다면

이게 합리적인 소비가 아닐까?



책 속에는 편의점 이야기 외에도

마트, 영화관,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업 마케팅과 소비에 대해 다룬다.

나는 책을 읽는 과정에서 흥미가 붙어

전체를 탐독했지만

필요한 부분만 취사선택해 읽는 데도 좋은 책이다.

일상에서 합리적인 소비를 원하는 사람,

지적 향상을 원하는 사람,

소비자 마케팅 관련 팀플을 하는 대학생,

소비자 심리 관련 업무를 하는 직장인 등

그 어떤 사람이 읽어도 괜찮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책에 나왔던 말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말은

'아메리카노를 싸게 샀다'

의 반대말은

'아메리카노를 비싸게 샀다'가 아니라

'아메리카노를 사지 않았다'

라는 말이었다.

크게 대단한 이론이나 위트를 담은 문구는 아니지만

현재 나의 충동적인 소비 패턴을 꼬집는 말이기에...

뜨끔하신 분이라면

꼭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나 2019-04-16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