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ㅣ 환상문학전집 10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안정희 옮김 / 황금가지 / 2009년 4월
평점 :
이미 읽었던 책이지만,
갖고 싶었던 책이어서 지난번에 주문을 했었다.
그리고 잠이 오지 않는 밤에 무심코 꺼내들고 말았다.
그의 작품은 흡수력이 강해서 읽기 시작하면 주욱 빠져든다.
분명 초저녁에 집어들었다면 끝장을 봤을 테지만 이미 늦은 시간에 꺼내든 탓에
적당한 선에서 멈췄다.
그의 작품이 히피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라고 하는데,
예쩐에 읽었을 때는 몰랐지만 이번에 읽으면서 새삼 느낄 수 있었다.
등장하는 인물들과 사고, 관계들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그의 작품에서 일부 일처제가 아닌 작품이 많다. 이번에도 그렇다. 뭐랄까 무리를 짓는 동물같달까? 가족 공동체가 되어 자유로운 관계와 아이들의 교육등을 함께 하는 모습. 그리고 소위 합리적인 무정부 주의라고 밝히는 교수. 매력적인 여주인공, 시니컬하면서 할건 다하는 남 주인공,
그러나 이 작품에서 최고의 주인공은 바로 컴퓨터이다.
생각하는 컴퓨터, 마이크 그의 존재가 가장 눈에 들어올 것이다.
이전에 그의 작품은 색채가 다양하다고 말한 적이 있었다. 입대하지 않으면 투표권이 없는 세계,
스타쉽투르퍼즈의 세계를 생각한다면 참 다른 세계가 한 작가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곳읜 혁명의 세계다.
어떻게 완벽한 혁명은 이뤄질 수 있는가? 작가는 아마 스스로 혁명이 이뤄지기 위한 과정과 방법을 고민했으리라. 그를 통해, 완벽한 조직, 여론의 형성, 싸움 등. 구체적인 혁명의 과정들을 만들어간다. 군데 군데 잔재미들도 있는데, 그것들을 찾는 재미도 있다.
새삼 눈에 들어오는 것은 달의 세계이다. 작품속에서 달은 자원으로 계속 소비하면서 지구로 곡물등을 수출한다. 지구안에서는 모든 것이 계속 순환하지만, 달은 그렇지 않다. 만들어진 결과물 곡물은 지구로 날아가 돌아오지 않는다. 그저 계속되는 자원의 소비만 이뤄진다. 그래서 달의 수명은 7년이다.
우리가 이러한 순환의 고리를 무시하고 계속 자원을 소비해 간다면 지구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