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배우다 - 불확실성의 시대, 우리가 알아야할 새로운 돈의 프레임
권오상 지음 / 오아시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정경제를 자알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이유로  시작한 부동산, 경제공부!
부동산, 재테크 책을 찾아 읽고 나니 과연 인간이 돈에 얽매여 사는 것인지 돈이 인간을 얽매이는 것인지가 알쏭달쏭했다.
마침 리뷰어스클럽을 통해서 <돈을 배우다>를 접하게 되었다. 돈이 무엇인지 좀 알아볼까?

이 책은 좀 난해했다. 저자는 쉽게 풀어쓴다고 했겠지만 나에겐 좀 난해한 부분이 조금 있었다.
저자는 금융감독원 연금금융실장으로 재직중이고 이미 <이기는 선택>외에 여려 금융관련 책을 쓴 이 분야의 전문가 이다.


저자가 서두에 말했듯이 이 책은 돈을 어떻게 투자하면 버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돈을 어떻게하면 잘 벌고 잘쓰는지 돈의 기초이론과 속성을 알게 해주는
돈에 관한 이론서(?)라고 말하고 싶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나눠진다.
 


돈이란 무엇인가? 돈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물건의 종속물이라고 한다. 돈을 신기루 같은 것!
저자는 독자들에게 돈에 대해서 이렇게 전달한다. 일단 돈에 대해 배우려면, 돈이 무엇인지 알려면 돈이란 무엇인지 먼저 알아야한다는 것이다.
 
자! 돈공부는 벌고, 불리고, 쓰는 것을 동시에 바라봐야한다고 합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저자가 장을 나눠가면서 돈을 버는 법, 불리는 법, 쓰는법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물론 모든 이들이 바라는 현실적인 투자나 그런 팁은 아니지만, 우리가 어쩌면 모르고 살았던 돈에 대한 이론을 알면서 돈에 대한 다른 시각을 갖게 됩니다.

2장에는 돈에 대해 좀 더 전문적인 지식을 알려줍니다.
 
돈을 4개의 좌표로 보라!
돈의 제1좌표는 수량, 쓸모있는 물건과 무관한 돈은 그게 얼마든 간에 있으나 마나 한 존재라는 것! 돈의 총량이 늘어난 결과로 물건의 가격이 올랐다고 해서 물건을 갖고 있는 사람이 갑자기 더 부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63p)
돈의 제2좌표는 시간, 현재시점의 돈, 미래시점의 돈, 돈에서 수량과 시간은 너무나 상호의존적이어서 둘 중에 뭐가 더 중요하냐를 가리기 쉽지 않다.(67p)
돈의 제3좌표는 불확실성,돈은 불확실성 천지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은 이를 누구보다 잘 안다. (71p)
아이템이 얼마나 잘 팔릴지... 돈이 되는 아이템일지 이건 모두 불확성에 기초한다는 것이다. 돈은 불확실성!
돈의 제4표는 마찰,저자는 마찰을 금융상품의 수수료라고 말합니다. 그렇죠. 내 돈 넣어두고도 타은행이체나 은행업무외의 시간에 내 돈을 찾을때 수수료를 내야하는게 현실이지요. 마찰! 맞습니다.
3장 돈을 버는 법에는 요즘 텔레비전에 자주 보이는 작사가 김이나의 예와 찰스핸디의 <코끼리와 벼룩>책의 이야기를 초반에 담았습니다.
코끼리와 벼룩은 소장하고 있고 읽어봤던 책인데 다시 이 책에서 다른 의미로 접하게 되니 새삼스러웠습니다.
돈을 버는 법에는 많이 버는 것보다 오래 버는 시스템을 만들라고 합니다.그 예시로 전문직의 예와 통계자료를 활용했습니다.
저자는 직업을 떠나 평균적으로 수입이 높고 낮음을 따질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평균보다는 개별적인 내가 결국 얼마를 벌수 있느냐가 중요한 거라고 합니다.
역시 내가 속한 시스템 안에서 얼마나 잘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거겠죠. 그리고 중요한 것은 얼마나 오래 벌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구요.
..
3장에는 우리가 아는 분들의 이야기가 예시로 나옵니다. 해리포터의 조앤롤링의 예, 디자이너 베라왕의 예를 읽으니 머릿속에 쏙쏙 잘 들어옵니다.
어려운 용어들이 나오는 부분에선 머리가 좀 아파왔는데, 저자가 그나마 저같은 독자를 고려해주신 덕에 돈을 버는 법은 술술 읽힙니다.
4장 돈을 불리는 법과 5장 돈을 쓰는 법은 조금 전문적인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수에 약한 저는 숫자만 나오면 책읽기가 막히는데
이부분이 가장 관심있는데도 몇번을 곱씹어 읽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도 이 책을 접하신다면 저와 같은 생각이신지 읽어보시고 판단해보세요 ^^
자아! 돈을 어떻게 하면 잘 쓸까요?
저자가 가장 고민한 부분이라고 합니다.
 제 1원칙 : 제대로 쓰고 싶은 일을 정하는 것
"돈을 벌기위해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영화를 만들기 위해 돈을 벌어야죠"(,월트디즈니, 197p)
이 말만 들어도 뭔가 감동이 오지 않나요? 돈을 제대로 써야한다는 말입니다.
저자는 돈을 이렇게 분류합니다.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생활비,
돈 벌기 향상과 본인 능력 개발을 위한 투자비
꼭 필요하지는 않는 소비적 경비
삶의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예비비
이 책은 돈을 배우자는 책입니다. 정말 돈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나와있어요. 조금 전문적이기도 한데 그래도 알아두면 좋은 내용들이 포함되어있답니다. 또한 돈을 잘 쓰는 법을 통해 삶의 불활식성과 노후를 위한 대비 팁도 전해줍니다.
그리고 책의 마지막부분에 참고문헌이 있는데 이 책한권을 쓰기 위해 저자가 얼마나 많은 책을 참고 했는지 알수 있습니다.
이 책의 참고문헌을 읽다보니 책 한권 쓰는게 보통일이 아니구나 싶습니다.
경제신문을 읽기 시작하신분이거나 돈에 대해 평소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 책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쉽게 읽힌다고 말을 못하겠지만 그래도 돈이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