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를 위한 침묵 수업 - 소란한 세상에서 나를 지키는 침묵의 뇌과학
미셸 르 방 키앵 지음, 이세진 옮김 / 어크로스 / 2025년 5월
평점 :
#협찬
소란스러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진정으로 침묵하는 시간은 하루에 얼마나
될까요? 저는 말수도 적은 편이고 출근을 하지 않다보니 말하지 않는 시간은 많지 않아요. 하지만 저 같은 분들도 이 책을 읽어보시면 알 수 있어요. 진짜
내가 침묵하는 시간은 얼마 안된다는 것을요.
.
신경과학자가 스스로 증명한 침묵의 위력
프랑스 대표 신경학자인 책의 저자는 과로로 인한 안면마비로 한달간 강제적인 침묵의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그제야 비로소 고요한 정신이 어떻게 ‘치유하는
사유’를 낳는지 경험하고 인생이 바뀌었다고 말합니다. 과잉
활동에서 벗어나 이따금 뇌를 덜 쓰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며 정신을 표류시키는 ‘뇌를 침묵시키는’ 시간이 뇌 기능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뇌과학적으로 흥미롭게 풀어낸 책입니다.
.
8가지 뇌의 침묵 솔루션
신체의 침묵 : 부교감신경계를 자극해
신체를 이완시키기
청각적 침묵 : 음악조차 필요 없다, 자연의 소리로 회복하기
주의력 침묵 : 활발한 뇌활동 사이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휴식 넣기
몽상을 위한 침묵 : 집중을 포기하고
생각이 표류하는 대로 내버려두기
듣기 위한 침묵 : 내면의 침묵을 통해
적극적 경청하기
눈의 침묵 : 잠깐의 눈감기로 뇌에
휴식을 주기
명상을 통한 침묵 : 마음챙김으로 주의력
집중과 주의력 개방을 오가기
자아의 침묵 : 내가 나라는 사실을
잊는 신 혹은 우주와의 일치
.
아이의 회복탄력성, 창조성의 원천
아이들은 놀이를 할 때 뇌가 멍하니 쉬는 모드인 디폴트 모드로 넘어간다고 해요. 또한 아이들이라면 누구나 자연스럽게 하는 몽상, 상상의 세계는 자기
안의 성을 건설하고 정신적 균형을 공고히 하는 과정이라 해요. 뇌의 디폴트모드는 회복탄력성과 창조성의
원천이 됩니다. 어쩌면 우리는 뇌를 잘 사용하는 방법을 타고 났지만 현대사회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그
능력을 모두 빼앗긴건 아닐까요.
.
파리 같은 대도시에서 2년간 극심한
소음에 노출될 경우 평균수명이 7.3개월 단축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해요. 8가지 영역의 침묵은 단순한 마음챙김을 넘어 뇌의 노폐물을 청소하고 창조력을 높이는 휴식이 됩니다. 더 나은 삶을 위해 휴식과 사색을 위한 공간으로 설계된 나만의 ‘침묵의
섬’을 만드는 방법 만나보시기 바래요.
.
.
.
* 본 서평은 우주님이 모집하신 #우주클럽_글쓰기방 과 어크로스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고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