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x4의 세계 - 제29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대상 수상작(고학년) ㅣ 창비아동문고 341
조우리 지음, 노인경 그림 / 창비 / 2025년 3월
평점 :
한 소년이 있다. 병원에서 사는 아이들이 있다. 현실은 더할 텐데, 아름다운 이야기를 만들어준 작가의 마음에 감사하다. 오래전 아이들 병치레로 짧게는 3일 길게는 일주일을 입원실에 있으면 커튼 너머 많은 이야기를 듣게 되고 마음을 나누기도 다툼이 있기도 했던 어떤 날이 기억났다.
나 또한 병실에 누워있을 때 보이던 천장이 정사각이었나 직사각이었나 기억을 더듬어 보고, 이 책이 많이 읽혀서 아이들 병동의 천장에 아이들의 마음을 편케 해주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지 않을까도 상상해 본다.
‘제갈 호’와 ‘오 새롬’, 가로와 세로라는 별명을 나눠갖고 비밀친구가 되어간다. 배경은 어린이병원이고 이들이 비밀을 나누는 공간은 병원의 도서관이다.
어른들은 진료를 하고, 재활을 도우며, 돈을 받고 고용된 간병인, 환아의 가족, 그리고 도서관에 책을 기증한 사람... 등이다. 아이들을 중심으로 어른들이 역할을 다하는 중이다. 착하거나 착하지 않거나를 결정지을 수 없다. 병원은 그런 곳이다.
호가 책의 세계에 들어왔고, 천정의 빙고와 다른 재미를 느끼게 되었다. 혼자가 아닌 느낌.
아이들은 어디서나 놀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호처럼. 빙고를 만들 수 있고 채울 수 있고 빙고를 외치지 않아도 되는 빙고도 할 수 있다. 그런 아이들이 병원에도 있고, 병원 밖에도 있다. 침대에 누워있거나 책상에 엎드려있거나 풀어야 하는 많은 과제들 앞에서 턱을 괴고 있거나.
성공의 관점을 말해주는 의사의 말에 호가 질문한다. 그럼 포기하라는 거냐고, 엄마는 반드시 걸을 수 있다고 했는데...... 그때 의사의 대답이 “걷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어. 살아가는 것. 너는 그걸 해내는 중이야.”라고.
‘할 수 있다’는 응원은 어른의 입장에서 응원일 뿐이라는 걸까. 호는 엄마의 응원보다 의사선생님의 말이 더 와닿기 시작했다고 마음에 말한다. ‘완전한 절망은 없다’는 것이 아이의 마음에 응원이 되었다. 아이의 절망은 모든 부모의 두려움 중 하나일 것이다. 아이의 실패가 문제가 아니라 실패를 겪는 아이를 보는 부모의 두려움이 아이를 제한한다.
호는 어떻게 되었을까, 새롬이는...
(일반적인 시선에서) 날개를 꺾인 아이들에게서 아이다움을 발견하는 슬픔이 이 책 속에 있다. 꼭 몸이 아프지 않아도 마음이 아픈 아이들에게도 살아내는 것의 찬란함을 말해 줄 수 있다면, 어른 됨의 삶을 나 또한 잘 살아내고 있는 건 아닌지.
호야, 새롬아 너희들의 약속이 지켜지기를 미지의 아줌마가 응원한다.기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