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은 죽기 좋은 날입니다 - 어느 교도소 목사가 가르쳐주는 인생의 교훈
카리나 베리펠트.짐 브라질 지음, 최인하 옮김 / 다산초당 / 2025년 5월
평점 :
거의 비슷한 제목의 에세이가 있었다. 그 책이 명사들의 인생 경험을 통해 지혜를 주고 싶은 책이었다면, 『오늘은 죽기 좋은 날입니다』는 죽음을 가까이에서 보고 죽을 자의 영혼을 도운 한 사람을 인터뷰한 내용이다.
그는 목사이며 이름은 ‘짐 브라질’이다. 책에도 언급된 다큐도 있다. 볼 수는 없지만. 사형수들의 죽음의 시간을 함께 한 목사이다. 죽음 앞의 공포는 모두가 평등하다고 하면 범죄자에게 죽임을 당한 피해자들에게 미안한데, 목사님은 그렇게 바라본다. 긍휼의 마음으로. 죽음 앞에서 외로운 자가 없어야 한다며.
읽는 내내 마음이 편치 않았다. 나도 기독교인이다. 흉악범들을 사형시키는 것이 옳고 그른가를 논하는 책은 아니다. 이 책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려면 기독교를, “예수 그리스도”를 알아야 한다. 아는 것뿐 아니라 그분을 사랑해야 한다. 번역된 단어도 불편하다. ‘신’으로 번역된 문구들은 자연스럽지 못하다. 미국의 신은 누구인가. ‘하나님’ 아닌가. 책에 ‘신’이라는 단어 대신 ‘하나님’이라고 번역된 곳은 열 손가락 안에 든다. 왜 그 부분은 ‘신’이라고 하지 않았을까 싶다. 성경 말씀이 나오는데 ‘신’이라고 번역해버리면 영 이상해지기 때문은 아닐지.
인터뷰하는 기자인 ‘카리나 베리펠트’는 적절한 질문과 반응을 하며 독자들의 마음을 대변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녀 역시 가족으로부터 받은 고통으로 힘들어하고 있었고 인터뷰의 시간을 거치며 짐 목사의 의도를 이해하고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걸음을 떼려고 한다.
짐 목사는 정치적인 사람은 아니다. 목사이기에 한 영혼을 구원에 이르도록 돕는 사명을 감당할 뿐이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을 실천한다. 목사이기에.
책의 거의 끝부분에 짐 목사 생각에 지옥에 갔을 것 같은(?) 세 사람의 이름이 언급된다. 극악무도한 사형수들이 목사를 만나 복음을 듣고 모두가 구원에 이르러 천국에 갔다는 판타지가 아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구원을 받으면 안 된다...라고 하찮은 평신도인 나는 갈등하며 책을 읽을 수밖에 없었다.
짐 목사 역시 인터뷰를 시작하며 죄를 지은 일을 고백한다. 그럼으로 성직자인 자신도 독자나 인터뷰를 하는 기자와 다를 바 없음을 느끼게 해 준다. 내면의 갈등이 없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그저 순종해 왔음을 알려준다.
「오늘은 죽기 좋은 날」이라는 제목을 붙여놓고 살기도 좋을 수 있는 날이라는 복음을, 긍정의 말을 남긴다.
이 책의 주제는 ‘용서’이다. 극악무도한 죄를 지은 이를 가족으로 둔 이도 피해자로 마주한 이들도 용서라는 큰 산을 넘으면 그 에너지는 용서받은 자에게가 아니라 용서를 해 낸 자에게로 돌아간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래서 내면으로든 육신으로든 죽지 말고 살아보자고 말한다.
사형수에게 자비를 베푸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의문이 들기도 한다. 읽다 보면 우리나라는 어떨까 궁금증도 생길 수 있다. 미국의 교도소와 사형집행이 비교적 자세히 묘사된다. 그들의 범죄 내용 몇 줄의 무거움과 분노를 희석시키는 장치처럼 그들의 집행 전후의 과정이 짐 목사의 입을 통해 전해진다. 편하지는 않았다. 그때 생각난 분,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자식을 죽인 자를 양자 삼은 손양원 목사님의 용서는 판타지가 아니다. 그분은 해내셨다. 혼자의 힘이 아닌 그리스도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순종함으로.
가독성이 좋다. 대화의 형식이고 독자의 의문을 글쓴이가 질문으로 대변한다.
원고 교정의 몇 군데는 아쉬움이 남는다.
기독교인에게는 어쩌면 필독서가 되어도 좋을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