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차르트, 사회적 초상 - 한 천재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ㅣ 음악의 글 6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지음, 박미애 옮김 / 포노(PHONO) / 2018년 2월
평점 :

클래식 음악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더라도 이름은 알고 있는 음악가가 며쳐 있는데, 그 중 한 사람이 모차르트다.
많은 사람들이 모차르트하면 살리에르와 대비되는 천재라는 이미지를 떠올릴 텐데, 이 책은 시작부터 모차르트의 어두운 운명을 보여준다.
모차르트는 음악적으로 성공했지만 젊은 나이에 점점 쇠퇴하는 명성을 뒤로하고 눈을 감았다.
어릴 때부터 그토록 사랑을 갈구했는데 결국 대중의 사랑에서도, 배우자의 사랑에서도 멀어진 것이다.

모차르트 하면 어릴 때부터 음악적 교육을 잘 받은 도련님 같은 이미지를 떠올렸는데, 책에서는 인간적인 면모가 돋보였다.
그렇다고 모차르트가 가진 음악적 재능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은 것은 아니다.
저자는 인간 모차르트와 예술가 모차르트를 분리해서 보지 않았다.
만약 길거리에서 모차르트를 마주친다면 그는 특별한 인상을 주지 못할 평범한 인간이었다.
그는 때때로 유치한 행동을 했고 사적인 자리에서는 똥과 관련된 비유들을 거침없이 사용하기도 했다.
p.80
저자 노르베르트 엘리아스는 모차르트가 살았던 사회를 통해 모차르트를 바라봤기 때문에 당시 유럽의 사회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모차르트뿐만 아니라 비슷한 시대의 다른 예술가들(특히 음악가들)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됐다.
그 때 음악가는 궁정의 다른 시종들과 마찬가지로 귀족들에게 고용된 입장이었기 때문에 작곡을 하는 데에 그 영향이 없을 수 없었는데, 모차르트 역시 마찬가지였다.
모차르트의 개인적 운명, 유일무이한 인간이자 또한 유일무이한 예술가로서 그의 운명은 그가 처한 사회적 상황, 즉 당시 음악가들이 궁정 귀족들에게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던 상황에 강한 영향을 받았다.
p.25
아버지와 달리 반항 기질이 있었던 모차르트는 고용주였던 후작 주료고부터 벗어나서 '자유 예술가'로 독립했지만, 그의 음악을 소비하는 사람들은 상류층이었기 때문에 그 사회적 틀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식으로 저자는 모차르트라는 인간 자체만을 두고 모차르트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그의 주변 사람들과 환경. 즉 활동하던 사회를 통해서 그의 내면을 바라보려고 했다.
나에게 이 책이 읽기 쉬운 책은 아니었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어려운 것은 아니고, 종종 등장하는 문장이 어려운 편이었다.
마치 철학책에 적혀있는 문장같았다. (저자가 사회학뿐만 아니라 철학을 공부하기도 하긴 했다.)
하지만 문장을 곱씹어보고 모차르트에 대해서 점점 알아가는 기쁨이 이 책을 읽게하는 원동력이었고, 그만큼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모차르트뿐만 아니라 다른 음악가들의 음악을 들을 때, 아니 예술을 접할 때에 더 깊은 감상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