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터 프랭클 - 어느 책에도 쓴 적 없는 삶에 대한 마지막 대답
빅터 프랭클 지음, 박상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21년 12월
평점 :
정신과 의사이자 신경학자 그리고 철학자인 빅터 프랭클 박사는 로고테라피의 창시자이기도 하지만 아마 나치 강제 수용소의 경험과 그 경험을 통해서 발견한 치료법인 로고테라피에 대해서 쓴 <죽음의 수용소에서>라는 책의 저자로 더 유명할 텐데, 이 책 <빅터 프랭클>은 빅터 프랭클이 말년에 자신의 생애를 회고하며 쓴 자서전이다.
빅터 프랭클은 부모와 어린 시절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자신의 이야기를 다정한 문체로 들려주고, 독자는 책을 읽으며 빅터 프랭클이라는 사람뿐만 아니라 글에 녹아있는 그의 철학을 알 수 있다.
글은 생각보다 무겁지 않아서 빠른 속도로 읽히는 편인데, 문체 때문에도 그렇지만 빅터 프랭클이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하고 있음에도 글이 그렇게 감정적으로 느껴지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오스트리아에 히틀러의 독일이 처들어오기 전까지는 유머 감각이나 취미 같은 것을 소재로 글을 썼기에 더욱 그러했고, 오스트리아가 히틀러 독일에 점령되어 유대인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고부터는 절망 속에서 하루하루를 보내다 자살을 시도하는 유대인들을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한 일, 수용소에서 아버지의 죽음을 직감하고 모르핀을 주사한 일, 남편과 헤어지지 않기 위해 몰래 아우슈비츠행을 지원한 아내 틸리... 이런 기억에 남을 이야기가 이어지며 글의 분위기가 초반과는 좀 달라지지만 여전히 글을 읽기 어렵지 않았다.
그렇다고 저자의 경험이나 책에 담긴 철학이 가볍다는 말은 켤코 아니다.
이 책의 특징을 더 말해보자면, 책의 번역가는 심리상담가이자 문화심리학자이며 로고테라피 치유 프로그램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데, 그의 저서 내용이 빅터 프랭클이 말하고자 하는 바와 그의 로고테라피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는 각주에 포함되었다.
그리고 글의 핵심적인 부분에는 이미 파랗게 밑줄이 그어져 있으며, 책의 말미에는 빅터 프랭클과 그의 가족 사진이 모여 실려있다.
빅터 프랭클은 죽음의 수용소 아우슈비츠를 포함해서 네 군데 유대인 수용소를 거쳤고, 소중한 부모님과 사랑하는 아내를 잃는 끔찍한 일을 겪었다.
하지만 그는 죽음의 수용소에서 결국 살아 남았으며, 고통에 얽매인 것이 아니라 암벽 등반 등 취미 생활도 즐기고 여러 권을 책을 펴내고 성과를 내는 인생을 살다가 아흔이 넘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이 책을 읽으며 나는 그가 어떻게 그럴 수 있었는지를 알 수 있었는데, 강제수용소를 정신적으로 성숙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시험대였다고, 또 극심한 고통일지라도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말하는 그의 태도를 보고 나 또한 비참한 상황을 극복하고 고통속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고 모든 일에는 의미가 있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의미 없어 보이는 고통도 가치 있는 업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마음 먹었다.
경중은 다르지만 고통을 겪은 자는 빅터 프랭클만이 아니라 저마다 각자의 고통이 있기 마련이므로 빅터 프랭클의 경험에서 우러난 삶은 태도는 나와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빅터 프랭클은 또 책을 다시 쓰겠다는 의지 때문에 신이 자신이 끝내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했는데, 먼저 나도 그 어떤 힘든 때에도 나를 삶으로 이끌 이유가 될 삶의 의미를 찾아봐야겠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