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헤란로를 걷는 신라공주 - 신라공주와 페르시아왕자의 약속
이상훈 지음 / 파람북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를 빼앗긴 페르시아 왕자가 도망쳐 도착한 먼 나라 신라의 공주와 사랑을 했고, 그 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페르시아의 영웅이 되었다는 설화는 그 자체만으로도 매력적인데, 거기에다 <삼국유사>와 같은 설화적 기록인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가 발견되고 그 이야기를 뒷받침 할 수 있는 역사의 조각까지 살그머니 모습을 드러내어 실크로드의 중심 페르시아 제국의 왕자와 실크로드의 동쪽 끝 신라의 공주의 인연이 역사적으로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라는 생각이 들게 하자 가슴이 뛰었다.
그러니 전설과 설화를 소재로 한 이야기를 좋아하는 내가 <테헤란로를 걷는 신라공주>를 읽지 않을 수 있었을까.

이 소설은 두 가지 이야기로 전개된다.
하나는 현대에 사는 희석이 자신의 뿌리를 찾는 여정이다.
희석은 이국적인 외모를 가지고 있는데, 그의 고향에는 희석처럼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사람들이 많았기에 그 마을 사람들의 조상은 페르시아에서 왔다는 이야기가 오래 전부터 전해졌다.
희석의 할아버지도 우리의 조상은 신라 때 페르시아 제국에서 건너온 왕자의 후손이라고 말했다.
희석과 페르시아의 인연이 이것이 다가 아니었다.
이란에 건설 책임자로 가게 된 아버지를 따라가서 페르시아 땅이었던 이란에서 어린시절을 보내기도 했고, 이후에도 대학에서 역사 전공을 하며 계속 페르시아 제국과 신라의 자료를 파헤쳤다.
희석이 방송국 다큐멘터리 피디가 된 것도 이 때문이었지만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사랑 이야기에 대한 다큐멘터리는 제작하지 못했는데, 영국국립박물관에서 발견된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이야기가 담긴 기록물 <쿠쉬나메>가 그에게 날개를 달아준다.

다른 하나는 천오백 년 전 과거의 이야기다.
이슬람 혁명으로 무장한 아랍 반란 세력에 의해 페르시아 제국이 무너지고,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은 당나라에 흩어져 있는 페르시아 세력을 모아 나라를 되찾기 위해 머나먼 당나라로 떠난다.
하지만 아랍인들은 아비틴의 목을 내놓으라며 당나라를 협박해왔고, 아비틴을 환영해주었던 당 고종이 병석에 누워 측천무후가 실권을 잡는 등 상황이 바뀌어 아비틴은 당나라를 떠나야만 했다.
그렇게 작은 인연이 있던 신라로 가게 된 아비틴이 신라에서 프라랑 공주를 만나 사랑을 했고 둘 사이에서 아들 페리둔이 태어나지만, 아비틴이 전부터 염원했던 일, 자신의 나라를 찾기 위한 여정이 이어지며 이들은 또 헤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두 시대의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역사와 역사 속 인물들의 이름도 등장하고, 특히 현대에 사는 희석이 페르시아 제국과 신라에 대한 자료를 찾으며 파헤쳐나가는 과정은 페르시아 왕자가 신라에 방문해서 신라 공주와 맺어지고 그들 사이에 아들이 있다는 설화가 실제 역사일 것만 같이 생생하게 다가오게 한다.

그리고 소설을 더욱 잘 이해하며 흥미로운 이야기에 몰입하도록 도와주는 각주가 있는 것도 좋았다.
‘신라와 페르시아의 인연, 그 흔적들’ 장에서 소설에서 언급되는 사마르칸트 아프라시압 벽화(정말 소설 속에서 말한 것과 같이 한민족이 그려진 것이 보인다)를 비롯한 관련 사진 자료를 볼 수 있는 것도 책을 읽는 즐거움을 더해주었고 말이다.

호응이 맞지 않은 조사가 쓰이는 등 오탈자가 있고 비문도 있는 것이 작가의 열정이 담긴 책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것은 아쉬웠지만, 그동안 우리가 유럽 위주의 역사를 접한 것을 안타까워 한 작가의 의도대로 소설을 읽으면서 페르시아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또 페르시아가 전보다 가깝게 느껴졌다.

<테헤란로를 걷는 신라공주>는 실제로 발견된 페르시아 서사시 <쿠쉬나메>와 역사를 바탕으로 하여 작가의 상상력으로 사이를 채운 탄탄한 이야기라는 점이 흥미로워서 마치 역사서 반 소설 반을 읽듯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역사 소설이었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