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
존 그린 지음, 최필원 옮김 / 북폴리오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북폴리오 출판사에서 미국 영 어덜트 분야 베스트셀러 작가 조노 그린의 소설 한 권이 새로 출간되었다.
존 그린의 신작은 아니고 그의 두 번째 소설로, 미국에서는 대표작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보다 먼저 출간된 소설이다.
찾아보니 국내에서는 <이름을 말해줘>라는 제목으로 다른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가 이번에 북폴리오 출판사에서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간된 것이다.
존 그린의 대표작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는 내 인생 소설이고, 그래서 읽은 그의 다른 소설 <거북이는 언제나 거기에 있어>도 좋았기에 이번에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 출간 소식을 알게 되었을 때 꼭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앞서 읽은 두 권의 소설과는 달리 이번 소설의 주인공은 콜린 싱글턴이라는 남자아이인데, 얼마 전 고등학교를 졸업했고 제목 그대로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차여 이름처럼 싱글이 되었다.
한 명의 캐서린에게 열아홉 번 차인 게 아니라, 번호를 19까지 붙인 캐서린들에게 매번 차였다는 것이다.
캐서린이라는 이름이 드물지는 않다지만 지금껏 줄곧 콜린이 캐서린이라는 이름의 여자아이하고만 사귀어왔다는 건 역시 이상한데, 그것도 이름 철자가 C로 시작하는 캐서린이 아닌 K로 시작하는 Katherine 이어야만 했다.
콜린은 상대방의 언어적인 부분에 관심이 있다나.
실연의 아픔에 욕조 속에 잠겼던 몸뚱이처럼 슬픔에 잠겨있는 콜린을 이끌어낸 건 찰진 입담을 가진 친구 하산이었다.
콜린의 상태를 본 하산은 해결책으로 자동차 여행을 추진하고, 콜린은 책으로 가득한 배낭과 더플백을, 하산은 옷으로 가득한 더플백과 함께 자동차를 타고 길을 떠난다.
둘은 자동차를 타고 가다가 제1차 세계대전을 촉발한 계기가 된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무덤이 있다는 광고판을 보고 테네시 주의 벽촌 것샷에 가는데, 그곳 잡화점에서 점원이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무덤의 가이드이자 구조 대원이 되기 위해 공부하고 있는, 놀랍게도 열일곱 인생 첫 번째 남자친구의 이름이 콜린인 린지 리 웰스를 만났다.
그리고 린지 리 웰스의 엄마 홀리스의 제안에 둘이 것샷에서 머물게 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콜린이 남들과 다른 점은 지금까지 캐서린이라는 이름의 여자아이만 사귀었다는 것 외에도 하나 더 있는데, 신동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그는 기억력도 남달랐지만 특히 언어적 재능이 있어서 무려 열한 개 국어를 할 줄 알았고 단어의 알파벳 위치를 바꿔서 다른 단어를 만드는 애너그램이 취미이자 특기여서, 소설 곳곳에서 애너그램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콜린은 영재와 천재의 차이를 분명히 하고, 자신이 천재가 아니라 볼 장 다 본 영재쯤으로 생각하며 무가치한 사람이 될까 봐 두려워한다.
소설 속에 드러나는 의식의 흐름을 보면 알 수 있듯 콜린은 남들보다 뛰어난 능력 때문에 괴짜의 면모가 돋보이는데, 끝나버린 사랑을 정리하는 방법도 수학적으로 '사랑의 정리'를 완성하려는 것이다.
그러면 그동안의 연애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고 앞으로의 연애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연애의 끝을 수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말에 호기심이 생긴 사람들이 많을 것 같기도 하다.
'유레가'의 순간으르 마주하며 서서히 발전시켜나가는 콜린의 '사랑의 정리'는 어떤 모양일까?
참, 콜린의 수학적 사랑의 정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소설의 일부를 이해할 수 없다거나 읽기 어려울 거라는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소설은 사랑의 정리를 이해하지 못해도 소설을 즐기는 데에는 상관이 없도록 쓰여서 나 또한 콜린의 사랑의 정리를 이해하지 못했지만 소설을 읽는 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설 속 수학적 내용은 작가 존 그린의 수학자 친구 대니얼 비스에 의해 만들어져 탄탄하다고 하니 콜린의 사랑의 정리가 궁금하고 이해하고 싶은 독자들은 맨 뒤에 부록으로 수록된, 수학자 대니얼 비스가 콜린의 사랑의 정리를 설명해주는 글을 읽어보면 된다.

재미있는 소설 안에 마음에 훅 다가오는 문장이 있다는 것이 내가 지금까지 읽은 존 그린 소설의 특징이자 장점이다.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 역시 존 그린다운 소설로, 재치있는 글 속 등장인물의 말빨 하며, 그 속에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그리고 이 소설은 콜린만의 성장 이야기가 아니다.
누구나와 금세 친구가 되는 성격의 소유자이지만 대학에 가거나 일을 하기는커녕 아무것도 하지 않고 소파에 파묻혀 방송 프로그램 <주디 판사>만 보고 싶어 하는 하산, 스스로 못생겼다고 생각하는 소녀였지만 쿨하게 행동하는 것으로 학교 최고 인기남 콜린(콜린 싱글턴이 아닌 다른 콜린이다) 과 사귀는 린지도 자신의 잃어버린 조각을 찾고 있다.
"다행으로 알아. 넌 차는 쪽이고, 난 말도 안 되게 섹시한 여자애랑 사귀잖아. 세상이 뒤집힌 거라고. 갑자기 눈보라가 보고 싶어진 신이 우리가 갇혀 있는 스노우볼을 신나게 흔들어댔나 봐."
p.232
"잃어버린 것으로 빈 공간을 채우는 건 불가능해. TOC 를 남자친구로 만든다고 알포 사건이 묻히는 건 아니라고. 잃어버린 마음의 조각들을 되찾는다고 해서 그것들이 예전처럼 딱딱 들어맞는다는 보장은 없어. 캐서린처럼. 난 그걸 깨달았어. 걔가 나한테 돌아온다 해도 처음에 걔가 날 떠나면서 만들어 놓은 구멍은 완전히 채워지지 않을 거야."
(TOC : 린지의 남자친구인 또 다른 콜린의 약자)
p.280
앞서 말했다시피 존 그린의 다른 소설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와 <거북이는 언제나 거기에 있어>를 읽은 나는 그 두 소설에서 보았던 것을 <열아홉 번째 캐서린에게 또 차이고 말았어>에서 발견할 수 있었는데, 영원에 대한 생각이나 나뭇가지들이 하늘을 갈라놓았다는 풍경 묘사가 그렇다.
만약 미래가 영원하다면, 그는 생각했다. 결국 미래는 우리 모두를 집어삼키겠지. 2,400년 전에 살았던 인물들 중 콜린이 아는 이는 불과 몇 명에 불과했다. 앞으로 2,400년 후면 지난 세기의 위대한 천재들은 완전히 잊힐 것이다. 소크라테스조차도. 미래는 모든 것을 지워 버릴 것이다. 제 아무리 유명하고 천재라 해도 '잊힘'을 초월할 수는 없다.
(...)
하지만 또 다른 방법이 있다. 이야기.
p.296
이 책은 이렇게 존 그린 소설 특유의 맛깔나는 글이면서도 이제 두 번째 소설을 쓰고 있던 작가의 글에 서 묻어나는 풋풋함 또한 느낄 수 있는 성장소설이었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