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와 빈센트 (반양장) -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스페셜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윤동주 지음, 빈센트 반 고흐 그림 / 저녁달고양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동주와 빈센트 반 고흐, 이 둘의 작품이 한 책으로 묶였다.

그림은 말 없는 시이고, 시는 말하는 그림이다.


- <동주와 빈센트> 표지 뒷면

저녁달 출판사의 문학 브랜드 저녁달 고양이에서 그간 열두 개의 달 시화집 시리즈가 출간되었는데, 1년 열두 달을 모티브로 해서 각 권마다 한 명의 예술가의 작품과 함께 여러 시인들의 시를 담아낸 시리즈이다.

이 책은 시리즈의 스페셜 버전으로 윤동주 시인의 작품만을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과 묶어냈다는 게 조금 다르다.

둘 다 각각 시와 그림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인물이지만 둘을 함께 떠올리기란 어색했고, 둘의 작품이 잘 어우러질까 싶기도 했지만 호기심이 생겼다.

그런데 책표지에 그려진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 <꽃 피는 아몬드 나무>가 동양화의 느낌을 풍기는 듯해서 이거 예상보다 괜찮겠다는 생각을 하며 책을 펼쳤다.



빈센트 반 고흐에 대한 책은 몇 권 읽었지만 윤동주 시인의 시는 <별 헤는 밤>과 같은 유명한 시 몇 편을 알고 있을 뿐 이렇게 시집을 제대로 읽어보기는 이번이 처음이었다.

먼저 이 책은 124편의 시와 129점의 그림이 수록되어있는 만큼 많은 수의 시와 그림을 접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윤동주 시인의 산문도 뒤쪽에 몇 편 수록되어 있는데, 그의 산문은 이 책으로 처음 읽어보기도 했다.

그의 시는 대부분 읽기에 어렵지 않아서 시를 읽으며 그의 사유와 감정을 잘 느낄 수 있었고, 그 시대의 풍경이 머릿속에서 펼쳐졌다.


아주 사소한 것도 그를 거쳐 시가 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윤동주는 초 한 대를 보고 제물과 제단을 떠올렸는데, '제물의 위대한 향내를 맛보노라.'라는 시의 마지막 행까지 다 읽으니 작은 초가 얼마나 거대하게 느껴졌는지 모른다.

<오줌싸개 지도>처럼 우습게만 보일 소재를 가슴이 먹먹하게 하는 시로 만드는 사람이 윤동주 시인이었다.

<창 구멍>과 <햇빛·바람>은 비슷한 소재와 구성인데 부뉘기는 전혀 달라서 비교하며 읽는 맛이 있었다.


그리고 그의 표현력은 어떠한가!

<개 1>에서는 눈 위에서 뛰어노는 개의 모습을 꽃을 그리며 뛴다고 하고, <눈>에서는 소복이 쌓인 눈을 추위에 덮어주는 이불이라고 말하며 그래서 겨울에만 내리는가 보다 한다.

이런 표현은 추운 겨울의 풍경도 따뜻하게 보이게 했다.

<반딧불>에서 그믐달의 반딧불을 부서진 달조각이라 하며 주우러 가자고 표현한 걸 보고는 감탄이 나왔다.

윤동주는 일제감정기의 저항 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것이 그의 작품에 의미를 더욱 부여해주지만, 그렇지 않아도 그의 여러 시를 읽으며 왜 윤동주 시인의 작품이 유명한지 알 수 있었다.



이 책의 특징은 윤동주 시인의 작품이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과 함께 했다는 것인데, 윤동주 시인의 시와 산문에 어울릴 만한 그림을 신경 써서 골라 배치했다.

제목이나 시와 산문에 등장하는 소재, 혹은 분위기와 어울릴 만한 그림을 골라 넣었기 때문이다.

윤동주 시인의 작품을 읽다 보면 자연스레 옛 우리나라의 모습과 냄새가 떠오르는데 그 옆에 서양의 풍경과 사람을 그린 그림이 있다는 게 어울리지 않아 보이기도 했지만, 그림이 시와 산문과 닿는 부분이 있어서 이 그림이 왜 이 시와 함께 있을까 찾아보는 재미가 있기도 했다.

다만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을 감상하기에는 책에 인쇄된 그의 그림에 또렷함이 부족하다는 게 아쉬웠다.

그의 그림은 윤동주 시인의 시를 거드는 정도의 역할을 하지만, 다른 시집과 차별성을 만들어주는 요소였다.

그리고 윤동주 시인의 시에는 (시를 읽을 때 시를 즐기는 데에 방해되지 않을 정도의 소수이지만) 방언이 쓰이기도 했는데, 한난계, 가차이, 도락구와 같은 방언과 마스트같이 일반 사람들이 잘 모를 단어는 아래 각주로 짧게 의미를 알려주었다면 시를 읽을 때 더 편했을 것이다. 



앞서 말했듯 윤동주 시인의 시들은 대부분 읽기에 어렵지 않아서, 나처럼 시와 거리가 먼 독자나 익숙지 않은 사람에게 윤동주 시집을 추천한다.

이 책은 그의 감탄할 만큼 아름다운 작품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 예쁘면서도 독특한 책이었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