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 우리의 직관 너머 물리학의 눈으로 본 우주의 시간
카를로 로벨리 지음, 이중원 옮김 / 쌤앤파커스 / 2019년 6월
평점 :
시간은 항상 우리 항상 존재하지만 마치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것처럼 우리가 볼 수도 만질 수도 공기처럼 가둘 수도 없기에 더욱 미스터리하고 신비하게 느껴진다
그런 시간에 대해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어보게 됐다.
저자는 첫 장부터 흥미로운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바로 평지에 사는 사람과 높은 산에서 사는 사람의 시간, 움직이는 사람과 정지한 사람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간의 속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시간의 방향, 흐름이라고 하는데, 더 나아가 사물의 미시적인 상태를 관찰하면 과거와 미래의 차이가 사라지며 과거와 미래의 차이는 우리의 희미한 시각 때문에 발생한다는 이야기까지 읽으면서 나는 혼란스러워졌다.
영화 <인터스텔라>를 처음 봤을 때와 비슷한 혼란스러움이었는데, '양자'에 대해서 알아가던 때처럼 내가 가지고 있는 상식과 감각과는 다른 이야기를 이해하기란 그 자체로 쉽지 않기 떄문이다.
뉴턴은 사물과 상관없이 흐르는 절대적인 시간이 존재한다고 생각했고, 이런 생각을 우리가 익숙하게 느끼는 건 지금까지 그렇게 교육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뉴턴과 반대되는 생각을 가진 아리스토텔레스 (그는 시간은 변화의 척도여서 아무것도 변하지 않으면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고 보았다)와 뉴턴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벗어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나 아인슈타인과 같은 사람들의 생각을 알아가며 시공간에 대한 내 생각을 확장할 수 있었다.



엔트로피, 상대성이론, 양자 등에 대해서 알고 있다면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하기에 훨씬 수월하겠지만, 저자는 독자가 최대한 이해하기 쉽도록 여러 사례와 예를 이용해서 설명해준다.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카드를 이용한다거나, 특히 인상적이었던 것은 시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가계도를 이용한 것이었다.
그 설명으로 내가 지금까지 인식해온 것과 다른 시간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었고 기억에도 남았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책 표지를 다시 보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저자가 말하고 있는 시간이 바로 표지에 담겨있기 때문이다.
별처럼 빛나고 있는 점들과 그것들을 잇는 선들이 시간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고 표지를 다시 보게 될 것이고 (단순히 예쁜 표지가 아니었다!), 왜 역설적인 원서의 제목인 <시간의 순서>가 아닌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라는 제목을 붙였는지도 이해가 될 것이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