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어가 잠든 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김난주 옮김 / 재인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작 하는 작가이다 보니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은 자주 보이는 편인데도 그의 책은 한 번도 읽어보지 않았다.

그런데 <인어가 잠든 집>은 제목 때문에 책을 살펴보게 됐고, 소설의 소재와 줄거리가 책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게 했다.



소설의 주요 이야기는 이렇다.

물에 빠져 잠시 심장이 멈췄던 미즈호는 아직 정식 뇌사 판정 절차를 거치지는 않았지만 의사에게 뇌사일 거라는 소견을 받게 된다.

미즈호의 부모 가오루코와 가즈마사에게는 청천벽력과 같은 일이지만, 생각 끝에 미즈호의 장기를 기증하기로 한다.

하지만 장기 기증 코디네이터를 만나기로 한 날 둘은 미즈호의 손이 움직이는 것을 느꼈기 때문에 장기 기증에 대한 생각을 접게 되었다.

그렇게 뇌사 판정 절차를 거치지 않고 미즈호는 계속해서 연명 치료를 받게 되었고, 가즈마사가 사장으로 있는 회사의 특수한 환경 덕분에 과학 기술의 힘을 빌려 보통 아이가 잠든 것과 같은 생생한 모습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되었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뇌사와 장기 기증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며 소설 속 인물들이 고민하는 과정을 우리에게 보여주는데, 책을 읽으면서 나라면 과연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고민하게 한다.

특히 과학의 힘을 빌려 겉으로 보기에는 아픈 아이가 아니라 다른 아이와 다름없어 보인다면 선택은 더욱 힘들 것이다.

지금까지 뇌사 판정을 받은 사람이 회복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하지만 내 아이가 최초가 될지도 모른다는 그 작은 희망을 놓기 힘들고, 어떻게 해서는 딸을 곁에 두고 싶을 가오루코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실제로 '로잘리아 롬바르도'라는 죽은 아이를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미라로 만든 사례가 있기도 하다.

사람들은 그 사례를 보고 끔찍한 일이라며 시체를 그렇게까지 해서 보존하다니 제정신이 아니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지만, 나는 그건 사람의 가치관에 따라 다른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하고 가오루코가 말을 이었다.

 "기분 탓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고, 자기만족일 뿐이라는 사람도 있지만요."

 "그런 사람들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에노키다가 물었다.

 "개의치 않아요. 제가 그 사람들을 설득하라 이유는 없으니까요. 물론 그들이 저를 설득할 일도 없겠죠. 이 세상에는 여러 사람의 의견을 통일하지 않아도 되는 일, 아니 오히려 통일하지 않는 편이 나은 일도 있다고 생각해요."


p.461-462

가오루코도 처음부터 저렇게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

아래는 모두가 미즈호를 살아 있는 아이로 대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그러기를 강요하던 가오루코에게 가즈마사가 한 말이다.

가오루코도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성장한 셈이다.

 "받아들이라는 게 아니야.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든 그건 당신 자유야.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사람도 있어. 그 사람들을 비난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야."


p.430-431


히가시노 게이고는 뇌사한 아이를 둔 가족의 입장을 보여주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간다.

다른 생각을 등장시키고, 장기 기증을 기다리는 아이의 가족과 같이 가오루코와 다른 입장의 인물을 등장시킨 것이다.

여기서 가오루코에게 이입해 있었던 나는 불쾌감을 느꼈다.

그런데 히가시노 게이고는 영리하게 이야기를 진행시키면서 그 불쾌했던 감정을 해소할 수 있게 하고, 그렇게 이야기를 풀어낸 것도 이해하게 만든다.

또다시 한 발 더 나아가 인물들을 통해 죽음의 기준에 대한 여러 관점을 제시하며 죽음이란 무엇인가 생각해보게도 한다.



이렇게 뇌사와 장기기증이라는 쉽지 않은 소재를 독자에게 이해시키고 죽음과 같이 심오한 것들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하면서도 이야기는 흥미롭게 이끌어 책장을 계속 넘기게 만든다.

소설의 책 제목 <인어가 잠든 집>이 주는 느낌처럼 약간 기괴하면서도 신비로운 느낌이 있지만, 삶과 밀접하기도 하며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거리를 담은 책이었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