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 고흐가 그린 사람들 - 빈센트의 영혼의 초상화
랄프 스키 지음, 이예원 옮김 / EJONG(이종문화사) / 2019년 2월
평점 :
품절

영화 <러빙 빈센트>를 본 지 그렇게 오래 지나지 않았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유명 화가 빈센트 반 고흐에 대한 영화인데, 독특하게도 매 장면이 고흐의 그림풍으로 그려져 흐른다.
그리고 영화를 보면서 알게 됐는데, 영화에 등장하는 배경이나 인물을 고흐 작품에서 가져왔다는 것이다.
장면마다 정성이 대단했고, 영화배우와 배경을 고흐의 작품과 이질적이지 않게 잘 담아내서 더 놀라웠다.
영화 마지막에 고흐가 그린 초상화들과 영화 내에서 그려진 배우들이 함께 등장하는데, 그때 처음 본 초상화가 많았지만 영화 덕분에 낯설지가 않았다.
<러빙 빈센트>에 힘입어서 이 책이 출간될 수 있었을까?

이 책은 빈센트 반 고흐의 자화상을 모아 빈센트가 머물렀던 목적지 다섯 곳으로 나눠 연대 순으로 수록했다.
반 고흐 하면 <별이 빛나는 밤에>. <해바라기>, <꽃 피는 아몬드나무>, <아를르의 포룸 광장의 카페 테라스> 같은 작품들이 떠올랐고, 인물화라고는 고흐의 자화상 한 점 정도만 생각났다.
그런데 이렇게 많은 초상화와 자화상을 그렸다니...
책장을 넘기며 여러 초상화를 만나면서, 영화처럼 고흐의 흔적을 따라가는 느낌이 들었다.
책에는 작품에 대하나 설명으로 그림의 특징과 그 그림이 누구를 그린 것인지와 같은 정보와 함께 더 큰 것이 담겨 있었다.
나는 이 책을 통해 빈센트 반 고흐라는 사람에 대해서 알게 됐다.
처음 만나는 작품이 많았던 만큼 고흐에 대해서 알게된 것도 많았다.
자신의 내면을 향해만 있었을 거라고 생각했던 그의 눈은 사람을 향해 있었고, 그는 사람을 중요하게 여겼다.
전에는 고흐의 그림을 볼 때 독특한 붓터치와 색감 같은 것을 위주로 보았다면, 이 책을 보면서는 그림 속 인물들의 눈을 보고 그가 그린 대상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중간에 책들을 그린 정물화가 있는데, 내가 책을 소재로 한 작품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초상화들 속에서 정물화가 등장하니 눈에 띄기도 했다.
처음에 왜 이 정물화가 초상화를 담은 책 속에 있는가 했던 의문은 작품을 한 관점에서만 보던 내 뒤통수를 때리며 큰 의미를 안겨줬다.
책이 빈센트의 책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 정물화는 사실상 자화상인 것처럼 보인다.
p.14
고흐는 정신적으로 위태로운 시기에도 그림을 그렸다.
그의 자화상으로 가장 잘 알려진 푸른 소용돌이의 그림이 이 시기에 그려진 것은 아이러니하다.
책은 고흐의 죽음으로 끝을 맺는다.
고흐의 자화상을 보면 느껴지는 혼란스러움, 우울함과 어두움이 그 결말의 복선 같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영화 <러빙 빈센트>를 본 사람이라면 더 흥미롭게 읽을 책이다.
이 책에서 여러 구절을 인용한 <빈센트 반 고흐의 편지>라는 책과 함께 해도 좋을 것 같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