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 - 기후의 역사와 인류의 생존
벤저민 리버만.엘리자베스 고든 지음, 은종환 옮김 / 진성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품절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이상기후에 대해 읽었을 때에는 크게 와닿지 않았는데, 추웠던 지난 겨울에 이어 특히 올해 여름에 크게 올라간 기온을 온몸으로 체감하며 변화하는 기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과학이 발달하여 이제는 인공으로 기후를 조정할 수 있다고 하는 세상이지만, 아직 자연의 영역인 기후 그 앞에서 무기력한 인간을 볼 수 있었다.

홍수, 가뭄, 지진과 같은 큰 규모의 자연재해가 아니라 기온이 몇 도 더 올라가는 것만으로 인간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요즘에도 그러한데 하물며 과거에는 기후가 지구 생명체의 생존과 생활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었을지...

하지만 내가 지금까지 읽은 역사 책은 지배자와 승리자들에 대한 이야기이거나 일반적인 시민들의 생활에 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전쟁, 정치, 법, 경제, 인간관계 등 여러 요소들이 등장하는데 인간 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기후는 잘 언급되지 않은 게 지금 돌이켜보면 이상하기도 하다.



이 책은 기후적 관점으로 역사를 바라보았다.

아주 오래전 인류의 조상이 막 출현하기 시작할 때부터 시간의 흐름을 타고 현재까지의 기후 현상과 역사를 담았다.

그렇다고 기후에만 치중하지는 않았고, 가설이나 인류에 영향을 미친 여러 요소들 중 하나로써 언급한다.

예를 들어 로마의 멸망은 많은 요인이 상호작용한 결과이고 그중 하나로 기후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온난한 기후는 로마 번영에 보탬이 되었는데, 로마 후기에는 기후가 불안정해서 서로마에서는 풍작을 찾아 보기 힘들었다고 한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로마 중심 기후만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지역의 기후가 로마에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다.

기후 변화는 유목민들이 로마로 이동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기후가 일방적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준 것은 아니고 인간도 기후가 변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환경 파괴로 인하나 온난화 현상은 꾸준히 언급되는 문제인데, 지금만큼은 아니지만 오래전 인류가 농사를 짓기 시작할 때부터 메탄의 발생량이 늘었다고 한다.

농사를 짓기 위한 산림 파괴와 논,동물 가축화 등이 기후 변화에 일조했을 것이라고.

하지만 인구가 증가하면서 수렵과 채집으로는 인구 부양이 어려워 돌아갈 수 없었을 거라고 했다.

지금 출생률이 낮다고 아우성이지만 나는 종종 지구에 인간이 너무 많다고 생각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도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고 살아있는 인간을 죽여야 한다는 영화 <킹스맨>의 발렌타인과 같은 입장은 절대 아니다)



저자는 역사를 기후적 관점에서 바라본 것에서 끝내지 않고 기후변화에 대한 논란, 세계의 기후변화 대책을 말하며 앞으로의 비전을 말한다.

지구온난화가 과장되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 규모가 어떻든 간에 우리가 환경을 파괴하고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맞다고 본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상해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게 하는 것이 역사의 순기능이라고 생각하는데, 역사학과 기후학 분야의 콜라보레이션인 이 책은 역사를 조금 색다른 관점으로 보게 할 뿐만이 아니라 역사의 이 순기능에 적합한 책이었다.

'시그널(Signal)'은 '(어떤 일이 있거나 있을 것이라는)신호' 라는 뜻이다.

왜 이 책의 제목이 시그널인지 생각해보자.

역사가 알려주는 것을 무시하고 이대로 흘려보낼 것인가?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