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관 그 개념의 역사 - 모든 인간은 세계관적 존재다! 칸트 이후 최고의 지적 담론
데이비드 노글 지음, 박세혁 옮김 / 도서출판CUP(씨유피) / 2018년 11월
평점 :

세계관을 담았다는 책 소개에 얼마나 방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 하며 기대했던 책이다.
짧은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이지만, 책의 처음과 끝에 있는 <나니아 연대기> 이야기가 이 책에 관심을 더 가지게 만들었다.
다만 내 예상과는 조금 달랐던 게, 책을 펴보니 기독교 중심의 종교 책이었다.
책을 펴기 전에는 세계관의 한 부분으로 기독교라는 종교가 들어가는 줄 알았다.
이 책에서 말하는 세계관이란, '기독교 세계관 운동'을 말할 때의 그 '세계관'이 중심이었다.

(프롤로그의 <나니아 연대기> 이야기)
책에서는 먼저 세계관 안에서의 개신교,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를 소개한 뒤에 세계관을 처음으로 사용했다는 임마누엘 칸트를 시작으로 철학자들의 이름이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19세기 철학자 헤겔, 니체 등부터 20세기 철학자들의 사상과 함께 세계관을 살펴보고 자연과학적, 사회과학적 맥락 속에서도 세계관 개념을 말한다.
신학적인 관점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세계관을 담았기에 기독교 세계관 개념사를 대표할 만한 책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닌 것 같다.
그리고 신학을 공부하고 종교 책을 번역한 경험이 있는 번역가가 번역을 담당하여 원서의 전문적인 지식을 보다 오역 없이 전달하는 책이 되지 않았을까.


기독교 세계관에 대해 다양하고 깊은 내용이 담긴 만큼, 이 책은 기독교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보다 기독교에 대해 더 알고자 하는 사람이 읽기에 적합한 책인 것 같다.
나는 기독교 교리를 본격적으로 배운 적이 없기 때문에 아담과 이브, 노아의 방주, 모세 등 몇 가지 이야기를 알고 있을 뿐 기독교에 대해 깊게 알고 있지는 않기 때문인지 이 책을 읽는 데 힘이 들기는 했다.
책 내용이 저자의 학위 논문이라고 하는데, 그래서 더 읽기 쉽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은 기독교 내에서 베스트셀러 책이었고 강의 책으로 선정될 예정이라 하니, 종교인들 사이에서는 어느 정도 검증된 책이기도 하기 때문에 기독교 세계관에 대해 알고자 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책으로 보인다.
방대한 양만큼이나 신학적 시각은 물론 철학적, 학제적 시각이 더해져서 기독교 세계관에 대해 넓게 알려주는 책이었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